•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해 한용운의 看話禪과 大衆佛敎論 (Manhae Han, Yong-un's Ganhwaseon and the Theory of Popular Buddhis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7.09
25P 미리보기
만해 한용운의 看話禪과 大衆佛敎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80호 / 137 ~ 161페이지
    · 저자명 : 김광식

    초록

    본 고찰은 근대불교의 중심적인 승려로 유명한 한용운의 간화선(看話禪)에 대한 성격을 밝히려는 글이다. 지금껏 한용운의 문학, 독립운동, 불교사상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나왔다. 그러나 그의 선사상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의 선사상을 간화선과 연관하여 살피고자 한다.
    한용운의 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도권 선원에서 참선, 오도송이 있으며, 선 수행자의 본부인 선학원에 10여년 간 주석, 말년의 심우장(尋牛莊)에서 생활선 등이다. 또한 그는 선(禪)에 대한 다양한 기고문을 남겼다. 특히 그의 선에 대한 기고문은 선의 개요, 성격, 방법 등을 논리적으로 서술을 한 글이다. 즉, 근대기의 불교계에서 선을 설명하는 논설문으로서는 특별한, 독보적인 위상을 갖는다. 그의 그 글은 선에 대한 개요, 수행, 성격을 보편적인 언어로 서술한 객관적인 글이었다.
    그래서 필자는 본 고찰에서 한용운의 선사상을 본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전 단계로 그의 선 관련 기고문을 집중 분석하였다. 그 분석은 첫째 한용운의 선에 대한 이해, 둘째 한용운의 간화선에 대한 이해, 셋째 간화선 수행을 종료한 수좌들의 행보와 그의 불교사상을 대변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 대중불교론(大衆佛敎論)과의 상관성에 대한 성격을 정리하였다.
    이 고찰이 한용운의 불교사상, 선사상, 근대기 선에 대한 사조(思潮), 간화선의 역사적 이해 등을 살핌에 있어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out the characteristics of ‘Ganhwason’ of Han, Yong-un who is a well-known monk of modern Buddhism. So far, there has been diverse research on Han, Yong-un’s literature, independence movement and Buddhist thoughts. However, few works cover on his Zen thoughts. Therefore, I study a his Zen thoughts in this paper.
    Followings are about Han, Yong-un’s zen. He practised zen meditation and ‘Odosong’ in an institutional Zen Buddhist temple, commented on Buddhism for 10 years in ‘Seonhakwon’, and practised lifestyle Zen in Simujang, in his later years. In addition, he has diversely contributed to Zen. His contributions to Zen include logical writings expressing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Zen. In other words, his contributions were special and exclusive as logical writings explaining Zen in the Buddhist world of modern times. His contributions were objective writings that describing the concept,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of Zen through a universal language.
    Thus in this paper, I have concentrated on analyzing Han, Yong-un’s contributions as a previous measure to understand his Zen thoughts. The analysis includes, first, understanding of Han, Yong-un’s Zen, second, an understanding of Han, Yong-un’s Ganhwaseon, an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relationship of popular Buddhism which is known to represent the performances of the monks who practised Ganhwaseon, and his Buddhist thoughts.
    I expect that this study would help in develop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Han, Yong-un’s Buddhist thoughts, Zen ideas, the trend of Zen in modern times, and the history of Ganhwa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