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식이십론 게송10에 대한 규기의 해석 (1) (Kuigi's interpretation on Vasubandhu's The Twenty Verses on the Mind Only (1))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8.02
38P 미리보기
유식이십론 게송10에 대한 규기의 해석 (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0호 / 313 ~ 350페이지
    · 저자명 : 朴仁成

    초록

    이 논문은 세친의 『유식이십론』의 열 번째 게송과 이에 대한 논을 다룬다. 열 번째 게송은 다음과 같다.

    그 경계는 하나가 아니고 또 다수의 극미가 아니고
    또 화합 등이 아니니 극미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게송은 마음 바깥의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명하고 있다. 생각해 볼 수 있는 마음 바깥의 대상은 세 가지이다. 즉 하나, 다수, 다수의 결합이다. 하나는 승론이, 다수는 설일체유부가, 결합은 경량부나 중현논사가 주장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 중 다수의 극미가 대상이 된다는 설일체유부의 대상론을 다룬다.
    다수의 극미가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 논은 오직 “각각의 극미는 파악되기 않기 때문이다”는 한 문장만을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극미가 대상의 자격을 얻으려면 파악되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파악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극미는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뜻이겠는데 이 뜻을 더 깊게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규기의 해석을 연구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규기는 설일체유부의 대상론을, 진나가 『관소연연론』에서 쓴 ‘생식’과 ‘대상’이라는 두 개념을 적용하면서 규명한다. 대상이 대상이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하나는 생식(生識)이고 또 하나는 대상(帶相)이다. ‘생식’은 식을 발생하게 한다는 뜻이고 ‘대상’은 식에 대상의 형상이 현현한다는 뜻이다. 그는 진나와 같이 소연연(所緣緣)을 연(緣)과 소연(所緣)으로 나누어 연은 ‘생식’으로, 소연 ‘대상’으로 본다.
    유부는 다수의 극미, 곧 각각의 극미가 전오식의 대상이 된다고 했는데, 규기가 보기에 이는 대상이 되기 위한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만 충족시키는 것이었다. 기억이나 상상과 달리 전오식의 지각에는 생생한 형상이 현현한다. 이렇게 생생하게 대상의 형상이 현현하려면 대상이 실법(實法)이어야 하는데 유부의 실법은 식을 발생하게는 할지라도 식의 형상은 되지 못한다고 말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10th verse of Vasubandhu's 『The Twenty Verses on the Mind Only』. The 10th verse is as follows.

    That object of perception is not one thing
    Nor is it many atoms.
    Also, it is not a compound, etc.,
    Because atoms are not demonstrated [as real]

    This verse means that there is no objects of perception that are external to the mind. The objects of percep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namely the one, the many, and the combination of the many. The one is a single thing, like in the Vaiśeṣika's assertion of a single form with parts. The many is many atoms, like in the Sārvāstivāda's assertion of really existing multiple atoms, each of which serves as a separate object of perception. The combination is a compound or conglamalate of atoms, like in the Sautrantika's assertion of really existing multiple atoms all uniting and combining to make objects of perception. In the treatise, there is only one sentence, saying “because the atoms cannot be grasped individually”, about the verse's line that many atoms cannot be the object of perception. It means that the atoms must be grasped to gain the qualification of the object, but they can not be grasped. That is why we need to understand this meaning widely and deeply. Here is the reason to investigate the interpretation of Kuigi.
    Kuigi elucidate the theory on object in the Sarvāstivāda on the basis of two concepts, the cause of the cognition and the appearance of representation in the cognition, which is used in Dignāga's Alambanaparīkāvṛtti. The cause of the cognition means that the object makes the cognition occur, and the appearance of representation in the cognition means that when the consciousness occurrs, the representation appears in the cognition. Like dignāga, he asserts that Ālambanapratyaya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namely ālambana and pratyaya, and that ālambana is equal to the appearance of representation in the cognition and pratyaya the appearance of representation in the cognition.
    The Sarvāstivāda asserts that the many atoms or the individual atom can be the object of the previous five consciousness. Kuigi thinks that this fact fulfills only one of two conditions for gaining a requirement. The Sarvāstivāda asserts that the vivid representation appears in the perception of the previous five consciousness, and that the object must be a real thing so that the representation can appear vividly in the cognition. Kuigi, however, thinks that the real thing of the Sarvāstivāda makes the cognition occur, but doesn't become the representation of the cogn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