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Wolfhart Pannenberg의 삼위일체신학적 창조론 (Trinitätstheologische Schöpfungslehre Wolfhart Pannenberg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1.12
43P 미리보기
Wolfhart Pannenberg의 삼위일체신학적 창조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1호 / 351 ~ 393페이지
    · 저자명 : 이용주

    초록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는 위르겐 몰트만과 더불어20세기 후반 이후 전 세계적인 신학 담론을 주도해 온 인물 중 하나이다. 그렇지만 몰트만과 비교해 보면 한국에서의 판넨베르크 연구는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일례로 몰트만의 경우 새로운 저서가 출판될때마다 그의 변화한 신학적 입장들이 매우 활발히 한국 신학계에서 수용·논의되었던 것에 반해, 이미 1993년 완간된 판넨베르크의『조직신학』은 아직 제대로 번역조차 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판넨베르크의 주저가‘아직’완역되지 않았다는 데 국한되는 문제는 아닌것처럼 보인다. 그보다 이는 판넨베르크가 자신의 수 십년에 걸친 신학적 기획과 개별 연구들을『조직신학』에서 어떻게 체계적(systematisch)으로 종합하고 있는지를 제대로 소개하지 않고 있는 국내 판넨베르크연구 현황의 단면을 반영하고 있는 듯하다.
    물론 연구의 주제와 범위 등에 따라『조직신학』은 거론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opus magnum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와소개가 배제된 채 그것이‘마치 아직 쓰여지지 않은 것처럼’진행되는연구는 오히려 판넨베르크의 신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당한 평가를 방해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최근 판넨베르크는 자연과학과 신학 간의 대화의 맥락에서 자주 거론되면서‘자연의 신학’을 추구하는 신학자로 평가받곤 한다. 하지만-비록 판넨베르크가 그의『조직신학』속에서도 자연과학과 신학의대화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이 주제는『조직신학』에 이르러서는 선행하는 창조론에 대한 단편들에서와는 달리, 보다 더 포괄적이면서도 명시적인 교의학적 목표 또는 체계적-신학적( s y s t ematischtheologisch)인 관점 아래에서 통합되어 다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것은 바로 이 세계를‘삼위일체 신의 피조물로 해석하고자’하는 데 있다. 즉, 자연과학과 신학의 대화라는 판넨베르크 신학의 한 부분적 측면은『조직신학』에 이르러서는 자연과 인간,역사를 포함한 세계현실의 모든 것을 삼위일체적“신론으로부터”(von der Gotteslehre her; cf. I 77) 체계적으로 해석해 내려는‘신-학’(theologisch)적인 관심 아래 통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조직신학』이후 신의 창조로서의 자연에 대한 판넨베르크의 입장은‘자연의신학’이라는 표어 보다는,‘삼위일체신학적 창조론’이라는 표어 아래에서 보다 더 적절히 묘사된다는 것이 본고의 입장이다. 아래에서는 판넨베르크의『조직신학』을 중심으로 그의 삼위일체 신학적 창조론의 개요를 제공하면서, 이러한 틀 안에서 자연과학과의 대화가 지향해야 할 교의학적 의미를 판넨베르크를 따라 개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제2장에서는『조직신학』에서 이루어지고있는 판넨베르크 신학의 체계적- 삼위일체 신학적 기획을 드러냄으로써 조직신학』전체를 아우르고 있는 방법론적- 내용적 중심을 개괄해보이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조직신학』의 체계적 중심으로 작용하는삼위일체신학의 관점 아래에서 삼위일체신의 외부를 향한 행위로서의창조행위에 대한 판넨베르크의 교의학적 진술을 정리하고, 제4장에서는 판넨베르크가 삼위일체 신의 외적행위에 상응하는 피조물로서의 세계의 존재와 구조를 제시하기 위해 수용하는 자연과학적 논의들을 언급한 후, 제5장에서는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신학적 창조론을 토대로오늘날 창조신학이 자연과학과의 대화 가운데 추구해야 할 교의학적목표를 제시하고, 더불어 판넨베르크의 창조론의 신학적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m Vergleich zu seiner f?hrenden Rolle im internationalen,theologsichen Diskurs hat Wolfhart Pannenberg keine betreffende Rezeption in Korea gefunden, die im Gegensatz zu ihm Jürgen Moltmann erlebt hat. Das kommt auch da zum Ausdruck, als in der gegenwärtigen Diskussion in Korea seine Schöpfungslehre als ‘Theologie der Natur’ verstanden und als solche rezipiert wird. Aber diese Klassifikation betrifft den trinitätstheologischen Ansatz, den in seiner dreibändigen Systematischen Theologie der Münchner Theolog auf vollkommene Weise entwickelt, zu wenig. In der Systematischen Theologie unternimmt Pannenberg, die gesamten Themen der Dogmatik,also Schöpfung, Versöhnung und Vollendung der Welt, von der trinitarischen Gotteslehre her darzustellen, die sich aufgrund der Selbstoffenbarung Gottes an Jesus Christus erklären lässt. Dieser t h e o-logische, v.a. trinitätstheologische Ansatz funk-tioniert in den gesamten Bänden der Systematischen Theologie als die systematische Mitte, die Methodik sowie Inhalte der jeweiligen dogmatischen Themen bestimmt. Dies betrifft auch jede Rede von der Welt als Schöpfung Gottes. Der Verfasser ist der Einsicht, dass die Sinngehalte und theologische Bedeutung des Dialoges zwischen Theologie und Naturwissenschaft, den Pannenberg auch in der S y s t e m a t i s c h e n T h e o l o g i e unternimmt, nur unter dieser systematishen, trinitätstheologischen Perspektive sich verstehen lassen.
    Um die oben geschilderte These in Darstellung zu bringen,konzentriert sich das Kap. II auf den systematischen, trinitätstheologischen Ansatz Pannenbergs. Dabei wird der trinitätstheologische Ansatz als die die gesamte Systematische Theologie bestimmende methodische, inhaltliche Mitte erklört. Im Kap. I I I wird die dogmatische Rede von dem Schöpfungsakt Gottes zusammengefasst, dem Akt, den Pannenberg unter dem Gesichtspunkt der Trinitätstheologie als die schöpferische Handlung des Sohnes als des Logos und des Heiligen Geistes analysiert. Danach wird im Kap. I V aufgezeigt, dass und wie Pannenberg in Bezug auf die Themen, z.B. Kontingenz und Naturgesetz, Feldtheorie, das Gespräch mit der Naturwissenschaft unter der streng theologisch konzipierten Perspektive ausführt. Und schliesslich kommt der Aufsatz zu Ende, indem der Sinn der trinitätstheologischen Schöpfungslehre Pannen-bergs für den gegenwörtigen Dialog zwischen Theologie und Naturwissenschaft sowie die seinem trinitätstheologischen Ansatz inhärenten Probleme aufgezeigt we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