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儒醫 李梴과 栗谷 李珥의 保養論 (A Study on the Theory of Baoyang in Rui Lichan and Yulgok Yiy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9.12
26P 미리보기
儒醫 李梴과 栗谷 李珥의 保養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0권 / 281 ~ 306페이지
    · 저자명 : 성호준

    초록

    明代 儒醫 李梴과 조선의 栗谷 李珥의 ‘保養’을 중심으로 두 사람의 상통점을 논의하였다. 李梴과 栗谷이 공유한 保養에 대한 견해는 조선의 유학자 및 의학자들의 ‘保養’ 및 ’養生‘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이해하는 잣대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유학과 의학이 같은 道를 지향한다는 ‘醫儒同道’의 입장에서 본다면 두 인물의 거리는 멀지 않다.
    李梴과 栗谷이 말하는 保養의 근거는 頤卦에서 찾을 수 있었다. 飮食男女의 일상적인 節慾養性이 保養의 내용이라는 李梴의 주장과 道義를 통한 浩然之氣를 기르는 일이나 氣를 기르기를 理에 합하게 하여야 한다는 栗谷의 주장은 모두 유학의 욕망의 절제를 통한 存天理 遏人慾의 유학의 근본정신을 공유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頤卦의 ‘愼言語 節飮食’을 근간으로 李梴과 栗谷은 의학과 유학의 입장에서 각자 자신의 주장을 펼친 것으로 이해하였다. 몸과 마음을 다스리고 치유하는 가치를 의학(李梴)과 유학(栗谷)은 頤卦의 易象에 근거하여 설명하지만, 각각의 학문적 입장에 따라 주안점이 다른 것이다. 그러나 李梴과 栗谷은 服藥 과 도교의 수련이나 神仙에 대해서는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保養의 핵심은 養心과 寡欲이라고 할 수 있는데, 李梴은 朱震亨 등의 이전 儒醫들의 학문적 성과를 계승하여 유학의 心性의 논의를 의학적으로 전개하였고, 栗谷도 眞元의 氣를 기르는 것을 강조하였다. 한편으로 李梴이 말한 ‘氣를 주로 하는 것’은 栗谷의 ‘氣로써 氣를 기르는 것’과 통하며 李梴의 ‘理를 주로 하는 것’은 栗谷의 ‘理로써 氣를 기르는 것’과 통한다.
    儒家와 醫家는 비록 用은 달리하지만 그 體는 동일한 것이다. 필자는 이를 頤卦의 易象에 기초한 ‘保養’이라고 판단하며 李梴과 栗谷이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하였던 것은 동일한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醫儒同道’라 한 듯하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compared and analyzed the theories of Lichan(李梴) of Ming Dynasty and Yuilgok(栗谷) Yiyi(李珥) of Joseon, who lived in the 16th century, with the emphasis of 'Baoyang(保養). Lichan and Yulgok's theories on Baoyang served a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ommon perception of Baoyang and Yangsheng(養生) by Confucian scholars and medical scientists of the Joseon. Lichan argued that Baoyang's content is to suppress desire, such as food and sex, and to cultivate nature. Yuklgok argued that the cultivation of Haoranzhiqi(浩然之氣) through moral consciousness or the cultivation of Qi(氣) should be made suitable for Li(理). Both of their theories conform to the fundamental spirit of Confucianism. Based on Iching Yigua(頤卦)'s "careful of language(愼言語) and control of food(節飮食)" they each made their own arguments from the standpoint of medicine and Confucianism. Medicine and Confucianism were based on Yigua, but each purpose was different. But Lichan and Yulgok shared a common understanding of 'taking medicine' and the training of Taoism or Taoist hermit(神仙). Baoyang's core is Yangxin(養心) and 'reducing the desire'. Lichan succeeded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former Rui, such as Zhuzhiheng, to develop the theory of the mind of Confucianism into the medical theory. What Lichan said was 'Cultivating Qi' and 'Cultivating Li as Qi' are similar to Yulgok's 'Cultivating Qi as Qi' and 'Cultivating Qi as L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