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인합일적 사유의 인식론적 고찰 (Epistemological Study on the Thought of 天人合一)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09
19P 미리보기
천인합일적 사유의 인식론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53호 / 5 ~ 23페이지
    · 저자명 : 박상환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동중서(董仲舒)식 천인합일(天人合一)적 사유를 유기체적 철학의 ‘否定의 순간’이라는 관점에서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본고는 유기체적 대립의 특성을 동중서의 천인감응(天人感應)론의 해석에 적용한다. 중국의 전통적 천인합일적 사상을 유기체철학으로 처음 해석한 조셉 니담은 음양론과 성리학을 유기체적 관점으로 분석하여 전통적 중국의 인식논리 분석에 큰 성과를 남긴 바 있다. 하지만 니담의 작업은 자연과학과 철학이 연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국내의 개별 전공 중심의 학술 풍토상 학문적 접근이 수월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그의 유기체적 분석의 큰 틀을 수용하면서 아울러 유기체적 사고에 함의된 부정과 긍정의 인식론적 측면을 검토한다. 또한 이 글은 유기체사유를 일종의 동양적 변증법으로 이해하면서 서구의 변증법적 논리와도 대비한다. 동중서식 합일논리에는 인식 주체와 대상 사이의 통일 및 긍정뿐 만이 아니라 대립 및 부정의 측면도 동시에 함축되어 있다. 그리고 그 부정은 제한적 부정(制限的 否定)이고 긍정 또한 제한적 긍정(制限的 肯定)이다. 본고는 이 부분을 인식론적으로 접근하면서 ‘황제지배체제’ 속의 유학자의 정치세력화라는 시대적 조건과 함께 조망한다. 이와 더불어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의미와 재이설(災異說) 등을 통일과 대립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유기체적 사유와 헤겔 및 맑스/엥겔스의 변증법 사이의 유사점은 사물의 운동, 변화와 관계성에 대한 역동적 해석이다. 그러나 변증법적 사유에서 사용되는 물질성의 개념이 동양적 천인합일의 논리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으며, 이는 인식론적 주체와 객체의 대립 설정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유기체철학에서 부정의 모멘트를 새로이 해석하는 작업은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동양적 논리의 근간인 천인합일적 사유에 대한 문제의식을 다양하게 제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a comparative analysis on 董仲舒's thought of 天人合一 from the viewpoint of 'the moment of negativeness' of organic philosophy. This study especially applies the characteristic of organic opposition to the analysis on 董仲舒's theory of 天人感應(mutual response between 天 and 人). Joseph Needham, who analyzed, for the first time, the Chinese traditional theory of 天人合一 with the method of organic philosophy, made an analysis on the theory of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nd Neo-Confucianism from the organic viewpoint, obtaining excellent results in the analysis of Chinese traditional theory of knowledge. However, Needham's work, which connected natural science with philosophy, has had difficulty being accepted because of our individual major based academic climate. In this study we will accept his organic analysis and at the same time will review the epistemological aspect of positiveness and negativeness included in organic thought. This study also regards organic thought as a kind of Eastern dialectic, comparing it with Western dialectical logic. 董仲舒's thought of oneness includes the unity and the positivenes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recogn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opposition and the negativeness. The negativeness means limited negativeness(bestimmte Negation) and so does the positiveness. In this study we will epistemologically examine this fact together with the circumstance of the age when Confucian scholars was in political power under the imperial age of China, and will also analyze the meaning of 知行合一 and 災異說 from the viewpoint of unity and opposition. The similarity between organic thought and the dialectic of F. Hegel, K. Marx and F. Engels is the dynamic analysis on the movement, the change and the relation of things. However, The concept of materiality used by dialectical thoughts is hardly shown in the Eastern concept of 天人合一 and so is in the case when setting up the opposition between an epistemological subject and object. Nevertheless, even though the work to newly analyze the moment of negativeness of organic philosophy is somewhat limited, it will offer us an opportunity to have the critical mind for the thought of 天人合一 which is the root of Eastern log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