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白雲 沈大允의 氣ㆍ神論과 天ㆍ人論 연구 -19세기 東學 思想과의 연관성 파악을 중심으로- (A Study on Baek-Woon Shim Dae Yoon's Theory of GiㆍShin(氣ㆍ神) and Theory claiming that Man is Heaven -Focused on Understanding of Relation with the Idea of DongHak in the 19th centu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0.06
31P 미리보기
白雲 沈大允의 氣ㆍ神論과 天ㆍ人論 연구 -19세기 東學 思想과의 연관성 파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2권 / 445 ~ 475페이지
    · 저자명 : 장병한

    초록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동학과 백운의 기학 세계를 상호 비교 논술하는 가운데, 특히 氣ㆍ神論과 天ㆍ人論에 주안점을 두고서 이들 사상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해 보았다.
    먼저 ‘19세기 동학 시대와 백운의 역사 진단의식’에 있어서는 동학의 창시자인 수운과 백운은 당시를 국내외적 위기적 국면으로 진단하는 것에는 인식을 같이 하였다. 천주학에 대해서, 수운은 虛學, 백운은 유학의 異端學으로 비판하였다. 수운은 輔國安民을 위한 대안으로서 전통 유학의 敬天命과 順天理를 강조하면서도 儒道와 佛道를 대체 할 수 있는 사상 체계로서 無極大道를 제시하고, 동학의 요체로서 靈符와 呪文 三七字를 제정하여 전파하였고, 학적 체계를 心學에 두는 동시에 道成立德의 賢人君子를 학문의 목적으로 하였다. 반면 백운은 정주학적 주석체계를 害毒적 요소로 규정하는 가운데, 천주학 전파의 폐해성을 극명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유가 경전의 재해석을 통한 孔夫子의 天人의 道를 일깨우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동학 시대에 있어서의 백운의 역사 진단 의식은 동시대 수운과 많은 부분 궤를 같이 하고 있으며, 氣ㆍ神論과 天ㆍ人論의 전개 양상에 있어서도 동학과 백운의 기학 체계는 많은 부분 접합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기신론에 있어, 동학과 백운의 기학이 모두 범신론적인 사상 체계를 공유하는 가운데, 동학의 기학 체계는 鬼神ㆍ陰陽의 氣ㆍ心 모두를 같은 神 개념으로 정의하는 반면, 백운의 기학 체계는 氣⇒(氣+氣)形⇒(氣+形)精⇒(氣+精)神의 공식 단계를 거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天ㆍ人論에서도 기본적으로 동학과 백운의 사상 체계가 같은 궤도를 지향하고 있지만, 백운의 기학 세계에서는 귀신의 禍福 주재성과 민중지향의 大同 의식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게 자리하고 있다. 요컨대 氣ㆍ神論과 天ㆍ人論에 있어서의 동학과 백운의 사상 체계는 총론적인 면에서는 많은 연관성을 맺고 있지만, 각론적인 면에서는 일면 다른 점이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 백운의 기ㆍ신론과 천ㆍ인론의 사상 체계가 19세기 중반에서 말기로 이어지는 동학의 정신세계와의 어떤 직접적인 연계성을 가졌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전 중세의 지배원리인 형이상학적 理와 19세기 당시 唯一神으로서 熾盛을 부리고 있던 절대적 天主를 止揚하고, 이의 대안적 원리로서 형이하학적 氣에 기반한 범신론적 사상 체계와 인간 및 민중을 역사의 推動體로서 顯示한 점에서 본다면, 백운의 학적 체계는 결코 과소평가 될 수 없다. 요컨대 백운의 기ㆍ신론과 천ㆍ인론은 19세기 동학 및 혜강의 기학과 함께 한국 근대 사상의 주요한 하나의 低邊的 흐름을 간직하고 있었다는 것에서, 그의 학적 체계의 역사 사상적 의미를 가늠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practical energy-flow theory in the 18th-19th century, Baekun Sim Dae-seong (1806〜1872) can be cited as a scholar who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ism, the cosmology of the Book of Changes in particular, developed the practical and new energy-flow theory. First, regarding Donghak (Eastern Learning, a Korean religion) in the 19th century, and Sim Dae-yun's diagnostic viewpoint of history, founder of Donghak Choe Je-u and Sim Dae-yun basically equally diagnosed the contemporary times as a crisis. Choe Je-u criticized Catholicism as false science, and Sim Dae-yun as paganism. Choe Je-u emphasized Confucianism's respect for heavenly orders and theory of following the heaven as an alternative to national and public welfare. He proposed Boundless and Great Way as a thought system replacing Confucian Way and Buddhist Way. He established and disseminated Donghak's precepts such as talismans and 37 charms. He based his science system on mind science, and upheld virtuous wise men and gentlemen as the objective of sciences. Sim Dae-yun criticized Chengchu philosophy-based annotation system, and the preaching of Catholicism as harmful, and thus proposed to promote the Heavenly Man's Way of Confucius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s. In 1862, he thus completed the writing of A Completed Book of Welfar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selected Confucian classics. This enabled him to respond to then widely disseminated Gospels of Catholicism, to recognize this book as a kind of Confucian Gospels, and to pray that all people would enjoy welfare through the book. It was found that Sim Dae-yun's diagnostic viewpoint of the Donghak era and his development of energy-flow, divinity and humanity theory had much in common with Donghak thoughts which transferred from Choe Je-u, to Choe Si-hyeong and Son Byeong-hui. In Sim Dae-yun's energy-flow, divinity and humanity theory, Confucianism's original energy-flow and divinity, which were overshadowed by the previous Neo-Confucianism's authoritarian reasoning, was found, and the hierarchical propensity and power of the populace who were discriminated and persecuted in the medieval Neo-Confucianism system created synergies. Thus, in Donghak's energy- flow system and contemporary Sim Dae-yun's energy-flow science, it was found that Korea was becoming modern as it transite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