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신석기시대 복합수렵채집사회론 검토 (Neolithic Complex Hunter-Gatherers in Korea Revisitie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12
28P 미리보기
한국 신석기시대 복합수렵채집사회론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신석기연구 / 46호 / 41 ~ 68페이지
    · 저자명 : 성춘택

    초록

    선사시대 사회의 성격을 규정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최근 복합수렵채집사회라는 개념으로 한국 신석기시대 사회를 이해하려는 흐름이 있다. 수십 기 마을과 잘 만들어진 유구와 유물, 외부와교류의 증거를 볼 때 단순수렵채집사회에 머물지 않고 사회복합성이 진전했음을 평가한 것이다. 복합수렵채집사회론은 한국 선사시대 사회의 성격 논의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 개념은 본래풍부한 해양자원을 바탕으로 많은 인구와 사회 위계가 발달한, 기존 수렵채집사회라는 범주에 포괄하기 어려운 민족지 사례 연구를 위해 고안한 것이다. 이를 다시 선사시대까지 확장했지만, 개념 자체의 고고학적 타당성을 넘어 한국의 신석기시대에 적용하는 데는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여러 무덤과 인골 자료 분석에서도 분화를 넘어 위계가 발달한 증거는 없다. 부장품의 불균형은성별 다양성에서 기인하며, 이는 수렵채집사회의 일반성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조와기장을 재배하고 농경구가 있으며 상당한 규모의 마을이 자리 잡았음에도 대부분 연구자는 신석기시대를 여전히 수렵채집사회의 맥락에서 접근한다. 식물재배가 생업의 중심을 차지하지 않았다고 하지만, 초기농경이라는 용어를 널리 쓰면서도 이동 수렵채집사회의 맥락에서 모델화하는 것은 모순일 수 있다. 복합수렵채집사회는 기존 고정된 사회형식과 단선적 문화진화의 틀에 적용하기 힘든 사례(변이)를 위한 개념으로, 선사시대에 거쳐야만 하는 단계가 아니다. 이것을 한국 선사시대까지 적용하는 것은 사회의 다양하고 역동적 모습을 그리는 데 적절한 모델이 되지 못한다. 그 대신 한국 신석기시대를 수렵과 채집, 어로, 그리고 농경에 이르기까지 여러 생계 활동이 어우러진 혼합경제, 그리고 내부의 긴장과 갈등을 해소할 기제와 공간, 외부와 체계적 교류네트워크를갖춘 ‘질서 있는 평등사회’의 맥락에서 이해하기를 제안한다. 그리하여 이동 수렵채집사회나 복합수렵채집사회라는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더 다양하고 역동적인 신석기시대 사회에 다가가는 모델과 해석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resent essay critically reviews the recent attempt to conceptualize the Neolithic society in Korea as complex hunter-gatherers. While large scale settlements with 20 to 30, and even 60 subterranean houses are well recognized in the Neolithic Korea, many archaeologists still consider that the occupants were mainly hunters and gatherers. The concept of complex hunter-gatherers were originally proposed to denote large village societies with prominent social hierarchies relying on abundant marine resources, and some archaeologists extended its use to prehistory. Aside from the archaeological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itself, the Korean Neolithic archaeological record lacks critical elements of the complex hunter-gatherers. While the discuss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in the context of Korean Neolithic have opened the new theoretical landscape, it is true that many burials and associated goods, let alone habitations sites, do not suggest the development of social hierarchies. The characteristics of burial goods are consistent with sexual differences which is widely observable with most hunter-gatherers societies. Furthermore, many Korean Neolithic sites yielded evidence of broomcorn and foxtail millet domestication, which most archaeologists try to explain in the context of complementary subsistence activities still dominated by hunting and gathering. The existence of material evidence of plant domestication strongly suggests that the Neolithic people were not ‘typical’ hunter-gatherers, which begs further discussions of the role of domestication in the Neolithic and its implications to the development of settled village lives. While the concept of the complex hunter-gatherers was coined to embrace cases that do not fit into the traditional hunter-gatherer society, it has become another stereotype that does not allow wide range of variability in prehistoric societies. Rather,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ole of mixed economy or horticulture and dynamics of orderly egalitarian societies in the Neolithic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