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의 여래장 해석 (The Interpretation of tathāgata-garbha in Vajra-samādhi-sūtra-śāstra by Wonhyo)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3
24P 미리보기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의 여래장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94호 / 179 ~ 202페이지
    · 저자명 : 양용선

    초록

    본여래장사상은 『여래장경』에서 일체 중생이 여래장(tathāgata-garbha)임을, 더불어 『열반경』에서 일체 중생에게 불성(buddha-dhātu, 佛性)이 있음을, 주장하는 사상이다. 특히 일체 중생이 여래장인 것에 대해서 『보성론』 제1장 제27게송에서는 법신(dharma-kāya), 진여(tathatā), 종성(gotra)의 세 가지 의미로 분석한다. 지금까지 여래장과 불성은 전변론(轉變論)과 현현론(顯現論)에 의해서 해석하는 두 가지 흐름이 있다. 전변론에 의한 해석은 대표적으로 다카사키 지키토와 옥 로댄쎄랍이 있고, 현현론에 의한 해석은 진제(眞諦)가 한역한 『불성론』과 원효(元曉)가 주석한 『금강삼매경론』이 있다.
    여래장(tathāgata-garbha)과 불성(buddha-dhātu, bauddha-gotra)은 현대 학자들에게 전변론에 의한 해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현현론에 의한 해석은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전변론에 의하면, 여래장과 불성은 일체 중생 안에 가능성․원인(dhātu, gotra, hetu)으로서 존재하는 유위법이다. 반면에 현현론에 의하면, 일체 중생(bauddha-gotra)이 섭장(garbha, 攝藏)하고 있는 무구진여․불성(buddha-dhātu), 혹은 여래법신․불성(buddha-dhātu)은 번뇌장의 유, 무에 따라 은복(garbha, 隱覆)되어 있거나 현현(顯現)하는 무위법이다.
    진제가 한역한 『불성론』은 유가행파의 관점에서 여래장을 해석하고, 『금강삼매경론』에서 원효는 『부증불감경』과 『승만경』을 바탕으로 해서 여래장을 해석한다. 구체적으로 『여래장경』의 “sarva-sattvās tathāgata-garbhāḥ”를, 진제는 “일체 중생은 무구진여․불성을 섭장하고 있는 붓다에 속한 종성들이다.”라고 해석하고, 원효는 “일체 중생은 여래법신․불성을 섭장하고 있으나 번뇌장에 은복되어 있는 붓다에 속한 종성들이다.”라고 해석한다.
    이제까지 여래장사상이란 일체 중생에게 여래장(여래가 될 원인)․불성(붓다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주장하는 사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원효의 해석에 의하면, 여래장사상은 일체 중생이 본래 여래․붓다임을 주장하는 사상이다. 구체적으로 일체 중생이 섭장하고 있는 계․성․체(dhātu)가 여래․붓다임을, 그러나 아직은 계․성․체가 번뇌장에 은복되어 있음을 주장하는 사상이다. 이것이 바로 『보성론』 제1장 제27게송에서 설하고 있는 여래장사상이다.

    영어초록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is an idea claiming that all living beings are tathāgata-garbha in Tathāgata-garbha-sūtra, and all living beings have buddha-dhātu in Parinirvāṇa-sūtra. In particular, the claim that all living beings are tathāgata-garbha is analyzed in the 27th verse in Chapter 1 of the Ratna-gotra-vibhāga in three meanings: dharma-kāya, tathatā, and gotra. So far, there are two trends in interpreting tathāgata-garbha, using the transformation and the manifestation theories. The transformation theory interpretation is represented by Jikido Takasaki and rNgog Blo ldan shes rab, the manifestation theory by Bauddha-gotra-śāstra, translated by Jeanje, and Vajra-samādhi-sūtra-śāstra, commented by Wonhyo.
    Among modern scholars, the transformation theory interpretation is mainstream, while the manifestation theory has recently emerged.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theory, tathāgata- garbha and buddha-dhātu․bauddha-gotra are the saṃskṛta-dharma, which exists as possibility․hetu to all living being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anifestation theory, the amala-tathatā․buddha-dhātu or tathāgata-dharma-kāya․buddha-dhātu that all living beings contain is the asaṃskṛta-dharma that is covered or appear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the absence of kleśa-kośa.
    Jeanje interprets tathāgata-garbh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Yogācāra School, while Wonhyo interprets it based on Anūna-anadhika-sūtra and Śrīmālā-devī-siṃha-nāda-sūtra. Specifically “sarva-sattvās tathāgata-garbhāḥ” described in Tathāgata-garbha-sūtra is interpreted as “all living beings are bauddha-gotra who contains amala-tathatā․buddha-dhātu inside.” by Jeanje, and “all living beings contain tathāgata-dharma-kāya․buddha-dhātu inside, but all living beings are bauddha-gotra who is covered in kleśa-kośa.” by Wonhyo.
    Until now,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has been known to claim that all living beings has tathāgata-garbha (the cause of becoming tathāgata) and bauddha-gotra (the possibility of becoming buddha). But according to Wonhyo's view,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is the idea that all living beings are naturally tathāgata․buddha. Specifically,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suggests that dhātu in all living beings (gotra) is tathāgata․buddha, but that dhātu is still covered in kleśa-kośa. This idea is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that the 27th verse in Chapter 1 of the Ratna-gotra-vibhāga is trying to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