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우에 대한 생성존재론적 해명 (Becoming-Ontologic interpretation of Acto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03
24P 미리보기
배우에 대한 생성존재론적 해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극교육연구 / 40권 / 40호 / 41 ~ 64페이지
    · 저자명 : 김미현, 최찬열

    초록

    재현 연극은 무엇보다 말과 언어, 곧 텍스트에 종속된 연극이다. 여기서 중심은 텍스트를 쓰는 작가이다. 연출가는 텍스트에 기록된 작가의 의도를 충실히 따라 무대 위에 이를 형상화해야 한다. 그리고 배우는 다시 그런 연출가의 지시를 실현하기 위해 연기해야 한다. 하지만, 텍스트 중심의 문학적 연극에서 벗어나, 희극 작가가 부여한 의미를 재현하는 데 그치는 연극이 아니라, 스스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예술로서의 연극은 신체적인 활동으로서의 연기술에 관한 새로운 이해를 요구한다.
    그런데 인류 역사에서 가장 큰 두 번의 문명 변동기에 신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흥미로운 철학적 개념이 등장했다. 데카르트와 들뢰즈(와 가타리)가 각각 내세운 상반되는 기계 개념이 그것이다. 데카르트 철학에서 보이는 정신과 신체의 종속 관계는 문학적 연극에서의 작가 혹은 연출가와 배우의 관계와 닮았다. 작가와 연출가는 배우들의 배후에서 그들을 조정하는 주체로 등장한다. 동시대 연극에서는 배우의 신체가 가진 잠재적 능력에 주목하는데, “그것은 바로 기동력 있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육체의 특수한 물질성이며, 이를 통해 배우의 행위는 관객의 육체에 직접 영향을 끼치며, 관객에게 ‘전염’된다.
    그로토프스키는 부정의 연기술을 통해 문명에 의해 포획되기 이전의 신체로 돌아가려고 했고,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신체를 통해 꿈틀대는 자연의 힘, 생명이다. 들뢰즈의 신체론을 따를 경우, 배우의 신체는 현실적 층위와 잠재적 층위로 이루어져 있고, 두 차원의 신체는 다르게 작동한다. 그런데 들뢰즈는 잠재적 층위의 신체를 ‘기관 없는 신체’라 부르는데, 이 개념은 아르토에게서 빌려 온 개념이다. 들뢰즈-아르토의 기관 없는 신체, 곧 유기적 조직화에 저항하는 신체는 유기체의 고착된 상태로부터 탈주해 생성과 변화의 장으로 나아가고자 한다는 점에서, 그로토프스키-메를로 퐁티의 신체와 함께 동시대 연극에서 신체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가장 또렷하게 보여준다. 아르토는 극심한 정신분열적 환자였지만, 환자는 자신이라기보다는 특정한 습관, 특정한 하나의 삶의 방식에 사로잡혀 사는 모든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연극이란 그런 낡은 습속에 길든 사람들의 감각을 바꾸고 신체적 리듬을 바꾸고, 더 나아가 삶 자체를 바꾸는 것이어야 한다고 보았다.
    사람의 신체는 여타의 다른 신체들보다 훨씬 유연하게 배치의 안과 밖을 오가며 탈영토화 운동을 한다. 그러니 우리가 우선 고려해야 할 것은 사람의 신체이고, 그중에서도 단연 배우의 신체일 것이다. 배우야말로 변신의 귀재이기 때문이다. 기실, 공연 중에 배우는 트랜스포머가 된다. 들뢰즈의 용어법으로 말하면 배우는 괴물이라고 볼 수 있다. 들뢰즈의 기계 개념을 가장 상징적으로 대변하고 있는 ‘체’가 바로 배우-신체라는 말이다.
    공연에서 배우의 신체는 다른 신체와 관계를 맺는다. 그것은 신체들 사이를 오가면서 감성의 변화와 지성의 확장을 야기하고, 그럼으로써 주체의 변화를 추동하고, 더 나아가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기 위한 필사의 탈주선을 그린다.

    영어초록

    Theater of representation is, above all, words and language. This is a Theater subordinated to the text. Here, the focus is the writer who writes text. The director must be faithful to the writer's intention written in text. The director should visualize it on stage. And the actor must act to express the director's instructions. However, a text-oriented literary play, It's not a play that representation the meaning given by the dramaturge, It is a play as an art that a new meaning becoming by itself. It is necessary that new understanding of acting skills as a body activity However, there were two major cultural upheavals in human history. At this time, an interesting philosophical concept directly related to the body emerged. These are opposing machine concepts which were proposed by Descartes and Deleuze(and Guattari),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the body seen in Descartes philosophy resemb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or director and actor in a literature theater. The writer and director appear behind the actors as the subjects who control them. In contemporary play, they pay attention to the virtuality ability of the actor. "It is the special materiality of the body of motivated and constantly moving. In this way, the actor's actions directly affect the audience's body and permeate them.
    Grotowski tried to return to his body before being captured by civilization through negative acting skill. Here and now, what’s important is the power of nature wriggling through the body, in other words is the life. According to Deleuze's body theory, the actor's body consists of an actuality layer and a virtuality layer. Thus, the two-dimensions of the body work differently. However, Deleuze calls the body of the virtuality layer a 'body without organ'. This concept was taken from Artaud. Deleuze-Artaud's body without organ, In other words, the body that resists organic organization tries to escape of the fixed state of the organism and move on to the field of creation and change In this respect, it most clearly shows the implications of body in contemporary theater with the body of Grotowski-Merleau-Ponty. Artaud was a severely schizophrenic. However he thought that the schizophrenic was not just himself, but everyone who was obsessed with a particular habit, one particular way of life. And a theater changes the senses and bodily rhythms of those who are accustomed to old habits. Furthermore, he thought that a play would change lives itself. The human body moves in and out of the arrangement much more flexibly than any other body and does a deterritorialization movement. Thus, the first thing we should consider is the human body. Among them, it is definitely the body of an actor. This is because actors are the masters of transformation. In reality, during the performance, the actor becomes a Transformer. In Deleuze's terminology, Actors can be seen as monsters. The most symbolic representation a ‘body’ of Deleuze’s concept of machine is actor-body.
    In a performance, an actor's body has a relationship with other bodies. It causes changes in sensibility and expansion of intelligence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bodies. Through this, it encourages the subject to change and furthermore draws an line of escape to find new possibilities in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