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 악조론의 보완과 확장 (The Sup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Pansori Musical Tone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12
22P 미리보기
판소리 악조론의 보완과 확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2권 / 119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정

    초록

    판소리의 중요한 음악요소의 하나로 악조를 꼽는다. 학계에서도 판소리의 악조론은 매우 중요한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악조론의 논의가 더 이상 나아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판소리 악조에 대한 인식과 범주에 대해 살펴보고 악조론의 쟁점을 찾아 이론을 비교한 후, 악조론의 보완과 확장을 위해 어떤 연구가 필요할 것인지 살펴보았다. 본 고에서 제안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악조론에서 다루지 못한 악상과 시김새가 더욱 객관적인 분석방법을 통해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둘째, ‘레미솔라도’로 된 악조가 분명하게 사용되는 사례가 있으니 채보와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언제나 현상이 가장 실증적 증거이니 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우조와 평조의 지시 대상이 학자마다 달라서 용어의 혼란이 생기고 있다. 어느 쪽이 옳다고 보기 어렵지만 기존의 실기인들과 학자들의 인식들이 100여년 넘게 자리잡아온 부분에 대해 고려했으면 한다.
    넷째, 설렁제와 같은 일부 악조는 선법의 문제보다는 선율론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 기타 악조를 우조나 계면조와 동일한 층위로 다루는 것의 효용성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일곱째, 판소리 악조론의 보완과 확장을 위해서는 선율론적 연구, 활용론적 연구, 형식론의 연구로 연계해서 확장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이를 통해 악조론의 문제들도 한층 심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영어초록

    Musical ton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musical elements of pansori. In the academic circle, pansori musical tone theory is one of major areas. However, recently, there has not been much discussion on musical tone theor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recognition and category of pansori musical tone theory; found some issues with regard to musical tone theory; compared theories; and finally proposed what kind of research is needed to supplement and expand musical tone theory.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proposition of this research.
    Firstly, themes and sigimsae, which have not been treated in musical tone theory, need to be studied additionally through a more objective analysis method.
    Second, since there are clear cases of using ‘re, mi, sol, la, do’ scale, caution is needed for writing and interpreting such pieces.
    Thirdly, the referents for Ujo and Pyeongjo vary from scholar to scholar that there is confusion in the use of terms. Though it is hard to say which side is correct, it would be wise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existing personnel and the awareness of scholars go back more than 100 years.
    Fourthly, some tones such as Sullungjae need melodical approach rather than dealing with scale or modal issues. In addition, consideration needs to be made about the usefulness of considering other tones as eqaul to Ujo and Gyemyeonjo.
    Finally, for sup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pansori musical tone theory, melodical study, practical study, and formal study must come along and join in the effort. Through this, the issues in musical tone theory can be reinforc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