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4⋅3항쟁론과 자결권 (The Jeju 4⋅3 Resistance Thesis an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8
46P 미리보기
제주4⋅3항쟁론과 자결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감법학 / 49호 / 323 ~ 368페이지
    · 저자명 : 이재승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주한미군정의 법령과 정책이 국제점령법과 자결권에 부합하는지를 밝힘으로써 4⋅3항쟁론을 보강하는 데에 있다. 이 글은 점령이 법적인 현상인 한에서 점령군과 점령지 주민 사이에 근본적인 대칭성이 존재해야 한다는 사고에서 출발한다. 연합국은카이로선언(1943년)에서 일본과 한국을 분리하고 한국을 적절한 시기에 독립시키기로 공약하였다. 연합국의 한국점령은 보존주의 원칙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받는 전시점령과는다른 변형적 점령으로 분류된다. 한편, 변형적 점령에서 점령국은 국제적으로 합의된 점령목적에 따라 점령지의 정치경제적 기반을 광범위하게 개혁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식민지해방 후 군사점령에서 점령지 주민에 의한 자유로운 정치제도의 형성을 지원할 신성한 신탁이 점령국에게 부과된다. 그런데 미국과 소련은 각자의 점령지역에서 정치적 평정을 단행하고 자국에게 우호적인 정부를 편향적으로 수립함으로써 이러한 신탁을 배반하였다.
    이와 같은 배신행위를 문책할 적절한 국제법적 수단이 점령지 주민에게 존재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점령정책을 통제할 법적 수단이 당시에 존재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장치는한국 문제에 대해 실제로 작동하지 않았다. 더구나 통제장치로서 역할하리라고 기대된 국제연합은 냉전구도 속에서 미국과 소련의 현실정치를 기정사실로 수용함으로써 점령을둘러싼 문제점들을 덮어버렸다. 나아가 2001년 헌법재판소는 제주4⋅3특별법의 시행에즈음하여 4⋅3봉기 당시에 아직 정립되지 않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와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같은 기준을 소급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이러한 국제법적인 핵심쟁점을 회피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3봉기에 합당한 명분이 존재했다는 점을 현재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은 4⋅3항쟁을 둘러싼 법적 파행을 극복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규범적 파행은이행기 정의의 시각에서만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e article is to strengthen the 4⋅3 Resistance Thesis by establishing that the statutes and policies of the U.S. Armed Forces in Korea are not compatible with the International Occupation Law an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idea that the principle of symmetry should do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pying forces and the population of the occupied territory as long as occupation is a legal phenomenon.
    In the Cairo Declaration(1943), the Allies pledged to separate Japan from Korea and to make Korea independent in due course. The Allied occupation of Korea was classified as a transformative occupation, distinguished from a belligerent occupation strictly controlled by the conservationist principle. On the one hand, the occupants should have the power to change widely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frastructure of the occupied territori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ly agreed-upon objective of occupation under the transformative occupation. On the other hand, the occupying forces should be given a sacred trust to support the population of the occupied territory to build freely the political institutions in the post-colonial military occupation. Howeve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violated the sacred trust by pacifying their political enemies and establishing the friendly governments in their respective occupied territories. It is unclear if legal remedies could be permitted to the population of the occupied territory in the international law in case that the occupying forces would betray this sacred trust and enforce a political order arbitrarily. Even if there would have been a legal mechanism to review the measures taken by occupying forces that infringed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such mechanism did not actually work for the problems of Korea.
    Moreover, the United Nations expected to operate as a mechanism of control skipped international-legal problems related to occupation policies by accepting the result of the Cold War real politics as a fait accompli. Futhermore, in 2001, the Constitutional Court evaded this international-legal issues around the time of enforcement of the Jeju 4⋅3 Special Act by retrospectively introducing standards such as ‘the free democratic basic order’ and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had not been established before the outbreak of the 4⋅3 resistance. Nevertheless, the effort to confirm that there were appropriate grounds for the 4⋅3 resistance would als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legal ramifications surrounding the 4⋅3 resistance. This is because such normative disruptions could only be adequately bridg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nsitional ju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