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들뢰즈의 시간론의 교육적 함의 (A Study on the Implication of G. Deleuze's Theory on Time for Educa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06
30P 미리보기
들뢰즈의 시간론의 교육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3권 / 2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김재춘, 배지현

    초록

    들뢰즈의 시간론은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제기적’인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 역시 들뢰즈 시간론을 새롭게 읽으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들뢰즈는 현재, 과거, 미래 각각을 ‘시간의 종합’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세 번째 종합인 미래의 시간을 ‘차이의 영원회귀’로 규정하고 있다. 들뢰즈의 묵시록적이고 난해한 시간론을 새롭게 이해하려는 이 연구는 그가 시간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한 공간적 메타포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실험해보고자 한다. 들뢰즈의 시간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현재는 유기체 차원에서 살아있는 현재를 습관으로 정초하는 시간이며, 차이를 끌어오는 방식으로 종합된다. 둘째, 과거는 현재를 지나가게 하는 근거의 시간이며, ‘순수과거’라는 선험적 지평 위에서 차이를 풍요롭게 반복하면서 기억을 종합한다. 셋째, 미래는 모든 경험적인 동일성을 사상한 ‘시간의 텅 빈 형식’이며, 차이 그 자체만이 영원회귀하는 시간이다. 시간의 종합은 현재에서, 과거로, 그리고 미래로 갈수록 ‘수동성’이 심화된다. 들뢰즈가 시간을 ‘수동적’ 종합으로 설명하는 이유는 주체의 의식성이나 능동성이 출현하기 ‘이전에’ 존재하는 ‘즉자적 차이의 영원회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이 같은 들뢰즈적 의미의 시간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교육(학)적 시사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교육에서 ‘동일성과 차이’의 문제는 ‘과거적 삶을 살게 할 것인가, 미래적 삶을 살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련된 것이며, 둘째, 교육의 시간에서 보다 근본적인 시간은 미래라는 점이다. 셋째, 차이가 영원회귀 하는 시간 속에서 교육적 경험도 차이의 생산으로 해석되며, 넷째, 교육 주체는 통합된 자아를 넘어 차이를 적극적으로 생산하는 주체로 해석된다. 다섯째, 교육에서의 ‘능동’과 ‘수동’, ‘의식’과 ‘무의식’은 차이의 생성을 위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이는 ‘수동’과 ‘무의식’이 ‘능동’과 ‘의식’의 기저에서 존재하면서 차이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영어초록

    Deleuze's theory on time is problematic in that it can be interpreted in many different ways. As an attempt to read Deleuze's theory on time from a new perspective, this study tries to explain Deleuze's theory on time by means of deepening or transforming his schematic diagrams on time presented in his book 'Difference and Repetition'. Deleuze describes each of the present, the past, and the future as a synthesis of time and defines the future, the third synthesis of time, as an eternal return of difference in itself. Deleuze's book, 'Difference and Repetition' is regarded as a book which deals with the time as the repetition of difference.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from a new perspective Deleuze's theory on time which is revealing and so difficult to understand by transforming and/or experimenting his spacial metaphors on time in various ways. Deleuze's theory on tim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is the synthesis of habit on the level of an organism which draws a difference from the repetition. Second, the past is the synthesis of memory which repeats differences bountifully on the transcendental horizon called 'pure past,' functioning as a base which makes the present pass by. Third, the future is the time of an eternal return, which makes all the concrete experiences excluded in an empty form of time. The passivity of time is being gradually strengthened as it goes from the present through the past to the future. Deleuze explains a time as a passive synthesis so that he can show that there is always an eternal return of a difference in itself before the active or conscious subject can be mobilized.
    Deleuze's theory on time carries some implications for education. First, educational time can be interpreted as a repetition of difference. Second, the educational subject is a subject who can produce a difference actively, going beyond the unified human subject. Third, passivity in the process of learning can be regarded as a condition in which activity can function creatively. Passivity never excludes activity from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Deleuze's theory on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