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우구스티누스의 재산권론에 대한 연구 (The Property Theory of St. Augustinu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10
32P 미리보기
아우구스티누스의 재산권론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강원법학 / 58권 / 243 ~ 274페이지
    · 저자명 : 신동룡

    초록

    아우구스티누스는 재산의 본질과 남용, 그리고 공동 소유권과 사적 소유권과 관련하여 서구 법사상사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영구법적 재산권과 세속법적 재산권을 구별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인간은 신을 향유하기 위해 영구법적으로 이 세상의 피조물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하지만 인간은 신이 잠시 그에게 맡긴 것을 점용할 수 있는 자일뿐이다. 재화를 악용하는 사람은 그것을 사용할 권리를 가져서는 안 된다. 재화에 대한 권리는 목적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람에게 속해야 한다. 그에게 있어 재산권은 사물을 적합하게 사용해야 하는 의무와 결합된다. 또한 영구법적 재산권의 대상은 필수적인 것에 한정된다. 과잉적인 것은 타인의 것이다. 남는 것은 이웃에게 주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웃은 자신에게 필요한 것에 대해 영구법적으로 합당한 점용권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영구법적 권리는 도덕적 권리인 반면 세속법적 권리는 현세 국가의 물리적 강제력에 의해 뒷받침되는 실정법적 권리이다. 현세 국가는 사악한 자들의 탐욕을 사적 소유권을 통해 인정한다. 세속법적 재산권은 재산을 악용하는 자들이 질서를 유지하고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 인정되는 것이다. 영구법은 물리적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구제행위를 강제할 수 없다. 그러나 세속법은 물리적 구속력이 있기 때문에 구제행위를 강제할 수 있다. 국가가 타인의 복리를 위해 사적 소유권을 제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국가의 판단에 따라 허용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 현세 국가는 정의를 온전히 실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12세기 『그라티아누스 교령집(Gratian’s Decretum)』은 사도행전을 인용하면서 자연법에 따라 모든 것은 모든 이에게 속한다고 하면서도, 아우구스티누스를 인용하면서 나의 것과 너의 것을 구별하는 것은 제정된 법의 산물이라고 설명한다.

    영어초록

    Augustin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western legal theory in relation to the nature and abuse of property, common ownership and private ownership. He distinguished property rights in eternal law from those in temporal law.
    Everyone has the rights in eternal law to use the creatures to enjoy God. This means that he is able to possess what God has entrusted to him for a while. The abuser of possessions should not have the right to use it. The rights to possessions must belong to a person who can use it for its purpose. In that sense, property rights in eternal law are combined with the obligation to use things properly. They are based on virtue. The rich man should give the poor neighbors more than he needs. Neighbors have a moral right to share them.
    Property rights in eternal law are moral rights. Property rights ensured by temporal law, on the other hand, are guaranteed by the physical coercion of the saeculum state. The saeculum state recognizes the greed of the wicked through private ownership. Temporal law admits that those who abuse their property could have property rights to maintain saeculum order and achieve peace. Eternal law cannot enforce almsgiving because it is just moral law. However, temporal law can enforce remedies of almsgiving.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mporal state’s limitations on private ownership for the well-being of others are permissible rather than mandatory. The 12th-century Gratian’s Decretum explained that everything belongs to everyone according to natural law. But it also argued in the view of Augustine that we could distinguish between yours and mine according to enacted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