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희(朱熹)의 도덕인식론 (A Study on Chu hsi’s the theory of moral epistem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7
28P 미리보기
주희(朱熹)의 도덕인식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윤리교육연구 / 53호 / 185 ~ 212페이지
    · 저자명 : 박준철

    초록

    윤리학의 근본적인 물음은 도덕 정당화의 문제이다. 도덕 정당화의물음이란 ‘나는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이며, 이는 곧도덕인식론으로 귀결된다. 왜냐하면 결국 이는 도덕은 무엇인지, 그것의 근거는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이기 때문이다. 도덕에 대한 관점에서직관주의는 형이상학적 난점을 지니며, 자연주의는 상대주의가 갖는 한계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각 이론이 가지는 한계에 대해 주희 성리학을 통해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는 『대학장구』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보전(補傳)」장을 새로 지어 격물치지의 근본적인 의미와 인식의 가능근거에 대해 제시하였다. 격물치지론에서 말하는 인식의 대상은 자연세계의 사물, 도덕규범과 그에 대한근거, 마음의 이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주희의 도덕인식론은 형이상학적 선(善)인 리(理)를 주장하는 것이며, 이러한 주장은 직관주의의범주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리를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선한 마음이 발현한다고 느끼는 감정상의 경험을 통해 형이상학적 리를 추론할 것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법은 직관주의자들이 갖는 한계인 형이상학적 선에 대한 입증 방법을 정립하는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주희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형이상학적리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론 역시도 제시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공부론이다. 이러한 주희의 도덕인식론은 형이상과 형이하를 통합하고자 하는 ‘체용일원(體用一源)’과, ‘일이이(一而二)’의 사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고는 서양윤리학과 동양윤리학을 변증법적 관계로 설정하고, 서양윤리학의 문제에 대한 해답의 단서를 동양윤리학에서 구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fundamental question of ethics is about the justification of morality. The question about the justification of morality is the matter of “Why Shoud I be moral?”, which is concluded the moral epistemology. That is because it is ultimately the question on the what the morality is and what is the basis of it. In the viewpoint of morality, intuitionalism has the metaphysical problem and naturalism does the limitations relativism holds.
    This paper struggles to seek for alternatives for the limitations that each theory has through Chu his(朱熹)’s neo-confucianism. Chu hsi who compiled Neo-confucianism published Dahakjangu (『大學章句』) and presented the possible foundation of cognition and the fundamental meaning of Kyeokmool-chizi(格物致知) in the chapter of 補傳. The object of cognition in the theory of Kyeokmool-chizi(格物致知) is on things in the natural world, moral norms and basis for them and reason the mind has. Therefore, Chu hsi’s the theory of Kyeokmool-chizi is to argue on the Li(理, reason) which is the metaphysical Seon(善, goodness). His argument can be said to be in the category of intuitionalism.
    However, when it comes to how to cognize Li, he insists to infer the metaphysical Li through the sensuous experience that gives the feeling of good mind revealing. This method seems to establish the way to demonstrate the metaphysical Seon, the limitations intuitionalists have. Moreover, Chu hsi proposed the methology to cognize the metaphysical Li as well, that is the very the theory of study. This Chu his’ s the theory of moral epistemology is made up of the viewpoint of Ilyiyi(一而二) and Cheyong-Ilwon(體用一源) which means that the substance and function has one source.
    This paper sets Western Ethics and Eastern Ethics as dialectic relation and attempts to find out the glues for the Western Ethics’ problems in the Eastern Eth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윤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