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관과 분석철학의 방법론 (Intuition and the Methodology of Analytic Philosop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2
27P 미리보기
직관과 분석철학의 방법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57권 / 217 ~ 243페이지
    · 저자명 : 한상기

    초록

    그동안 분석철학을 어떤 단일 특징으로 규정하려는 시도들은 실패를 거듭해왔다. 모든 분석철학자만이 공유하는 실질적인 철학적 견해나 방법은 사실상 없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분석철학을 하나로 통합하는 단일 특징을 찾기란 매우 어려운 일인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1970년대 이후 “직관”을 분석철학의 방법으로 간주하는 분위기가 점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비록 분석철학에서 이의 없이 시인되는 분석철학만의 방법에 관해 언급하는 사람은 없어졌지만, 최근의 분석철학자들에게서는 철학이론을 전개할 때 직관에 대해 호소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졌다. 이들은 전통적인 개념적 분석, 반성적 평형, 사고실험 등을 통한 철학 활동에 “직관”이 바탕에 깔려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급기야 직관에 대한 호소는 전체적으로 오늘날 현대 분석철학의 특성을 이룬다고 할 정도로 상당히 공통적인 것 같은 인상을 준다.
    그렇지만 직관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를 가진 철학자들도 있다. 그중에서도 카펠렌(H. Cappelen)은 직관에 대한 의존이 철학의 본질적 특성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대표적 철학자이다. 그는 철학자들이 그들의 논증에서 증거의 원천으로 직관에 의존하는 것처럼 보이는 광범한 사례들을 검토하고, 최초의 겉모습과 반대로 그들이 적절하게 ‘직관’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그는 철학에서 직관은 실제로는 증거로서 사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이 논문은 직관에 대한 카펠렌의 회의적 주장을 논박하고, 철학적 방법의 부분으로서의 직관 개념을 검토해보고 옹호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카펠렌의 회의적 논증을 살피기 전에 먼저 많은 분석철학자가 직관 사용의 범형으로 간주하는 사례 중 하나(게티어 사례)를 통해 직관이 철학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그런 다음 카펠렌의 회의적 주장들과 그 근거들을 제시한 다음, 그 논증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직관에 대한 대안의 설명을 통해 철학자들이 실제로 증거로서 직관에 의존한다고 생각할 이유를 제시하면서 철학에서 직관이 하는 역할을 옹호한다.

    영어초록

    Until now, attempts to characterize analytic philosophy as a single feature have repeatedly failed. There seems to be virtually no philosophical views or methods shared by all analytic philosophers. Therefore, it seems very difficult, or even impossible, to find a single feature that unifies analytic philosophy.
    However, after the 1970s, the atmosphere that considers “intuition” as a method of analytic philosophy began to appear more and more prominently. Although no one mentioned the proper method of analytic philosophy, which is endorsed without objection in analytic philosophy, recent analytic philosophers have quite a lot of cases appealing to intuition when developing philosophical theory. They seem to think that philosophical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conceptual analysis, reflective equilibrium, and thought experiments are based on “intuition.” Eventually, the appeal to intuition yields the impression that it is quite common enough to say that it constitut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as a whole.
    However, some philosophers have expressed skeptical views of intuition. Among them, H.Cappelen is a leading philosopher who argues that dependence on intuition is not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philosophy. He examined a wide range of cases in which philosophers seemed to rely on intuition as a source of evidence in their arguments, and argued that contrary to the original appearance, they did not rely on what could adequately be called “intuition.” So he has argued that intuition in philosophy is not actually used as evidence.
    This paper attempts to refute Cappelen's skepticism about intuition, examine and defend the concept of intuition as part of philosophical method. But before we look at Cappellen's skeptical arguments, I will first explain how intuition is used in philosophy through one of the examples (the Gettier case) that many analytic philosophers regard as the paradigm case of the use of intuition and a breakthrough in analytic philosophy. It then presents Capellen's skeptical arguments and their rationale, and then reviews the argument. Finally, through an alternative explanation to intuition, it advocates the role of intuition in philosophy by presenting reasons that philosophers think they actually depend on intuition as evid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