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秋史 金正喜의 學問論 (A Study on Academic Theory of Chusa Kim Jeong-he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02
21P 미리보기
秋史 金正喜의 學問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28권 / 28호 / 313 ~ 333페이지
    · 저자명 : 최경춘

    초록

    본고는 秋史 金正喜(1786~1856)의 학문론을 고찰하였다. 당시 대부분의 실학자들은 經世致用, 利用厚生, 實事求是의 세 부류로 그 들의 의견을 주창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實事求是派는 明末 淸初에서 淸 中朝에 걸쳐 中國에서 발전한 經世致用의 學問 내지는 考證學의 영향을 받아들이면서 고증을 위주로 하는 학문태도로 우리 민족의식을 일깨우고자 했다. 그 중 대표적 인물인 金正喜는 儒學․金石學․考證學․訓詁學․佛敎學者였으며 탁월한 書藝家였다. 그는 이른바 전시대 實學의 주체로 일컬어지는 楚亭 朴齊家(1750~1815)의 뒤를 이었으며, 직접 燕行하여 覃溪 翁方綱(1733~1818) 藝臺 阮元(1764~1849)을 비롯한 수많은 淸 當代 碩學들과 交流하였는데, 특히 옹방강의 漢宋不分論과 완원의 實事求是論을 적극 수용하였다. 이와 같이 청조의 이론적 근거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김정희의 사상은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공통적 특징으로 나타난 비판정신과 실용적 관심에서 우러나온 實際性과 博學性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추사 학문의 본질은 바로 經學이며, 그 목적은 聖賢之道의 本源을 窮究하여 實踐躬行하는데 두고 있으며, 그 학문의 방법은 存古精神을 바탕으로 한 折衷性 그리고 平心하여 一切의 문호를 떠난 綜合性을 지니고 있다 하겠다. 그리고 그의 학문적 태도는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면서, 학문을 위한 학문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儒學에서 실천이 강조되는 점과 같이 그는 金石學에 있어서 과학적인 考證性을 들어내었다. 또한 藝術에 있어서도 形似보다 品格을 重視하는 보다 차원 높은 作品性을 발현하였다. 그리고 추사 학문론 연구의 과제로는 그의 학문적 이론이 중국의 學問論을 수입하였다는 점에서 무조건 그 독창성을 인정하고 찬양하기 보다는 좀 더 균형 잡힌 판단이 필요한 점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추사는 方法論的으로 중국 학문을 우리의 학문과 折衷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기존과는 또 다른 自己化를 實現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academic theory of Chusa Kim Jeong-hee (1786~1856) who sublimated practical science academically through ideology based on Spirit of Jongo(valuing the old things) during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periods of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most realists claimed their opinions by dividing into three classes; Gyeongsechiyong, Liyonghusaeng and Silsagusi(Oriental pragmatism), among them, the school of Silsagusi tried to enlighten the national spirit focusing on historical investigation while accepting the learning of Gyeongsechiyong that developed in China from the end of the Ming Dynasty to the middle of the Qing Dynasty, or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Among them, Kim Jeong hee was a representative figure as a scholar in Confucianism, epigraphy,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exegetics and Buddhism and excellent calligrapher. He succeeded Chojeong Park Je-ga(1750~1815) who is referred to as the main body of realism of the entire times, and exchanged with so many erudite scholars of the Qing Dynasty including Damgye Ongbanggang(1733~1818) and Yedae Wanwon(1764~1849). In particular, he actively accepted the Hansongbulbun theory of Ongbanggang and the Silsagusi theory of Wanwon. Like this, Kim Jeong-hee's ideology based on the theoretical grounds of the Qing Dynasty clearly present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realism ideology of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critical mentality, actuality originating from practical interest and erudite features.
    The essence of Chusa's teaching is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the purpose is Silcheongunghaeng(practice-is-best theory) by seeking the origin of Seonghyeonjido(the teaching of the sages). The method has compromise and synthetic features regardless of a great writer based on Spirit of Jongo(valuing the old things). In addition, his academic attitude has a clear spirit of goals and focused practice, not staying as learning for learning. He emphasized the scientific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for epigraphy and focused on dignity for arts. However, it was found that although his ideologically biased thought toward China in his academic theory enabled to import China's learning and could be compromised methodologically, but failed in self-actualization and making homemade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3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