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사참배 회개론 유형별 연구 (A Study on the Repentance Types of Shinto Shrine Worshi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05
40P 미리보기
신사참배 회개론 유형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42권 / 48 ~ 87페이지
    · 저자명 : 안수강

    초록

    본 연구는 신사참배 회개 유형들을 연구하고 참배를 수행한 죄에 대한 고백의 과정을 통시적(洞視的)으로 성찰하며 참 교회상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1930년대 일제식민 종교정책의 핵심이었던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는 한국교회에 신사참배를 수행할 것을 강요했다. 한국교회는 일제가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皇國植民化) 정책의 일환으로 신사참배를 강요하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 교단마다 상이한 견해들을 표방했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교단 간의 갈등은 해방 이후에도 지속되었고 교회 재건 사역에 큰 거침돌로 작용했다. 1945년 해방 이후 신사참배와 관련하여 내적 회개론, 상대주의, 그리고 공적 회개론 등 세 가지 유형의 회개론이 대두되었다.
    첫째, 내적 회개론은 신전의식(神前意識)에 입각하여 하나님과의 직접 관계에서 사적인 회개를 시행할 것을 주장한 유형이다.
    둘째, 상대주의는 역사적 해석법(historical interpretation)과 종교적 실용주의(religious pragmatism)를 표방하여 당시의 시대적 정황을 중시한 유형이며 모자이크 역사관을 통해 개인의 위치(직무), 특정 사역, 역할 수행을 정당화했다.
    셋째, 공적 회개론은 내적 회개론과 상대주의와는 달리 하나님과 모든 교인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죄를 회개하고 권징을 시행할 것을 촉구한 유형이다.
    현하 한국교회가 참 교회상을 회복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시급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회개를 통해 ‘하나의 교회’를 실현해야 한다. 교회의 영적 일치를 추구하기 위한 진정한 사도적 신앙과 전통은 성실하게 공적 회개를 시행함으로써 갈등과 분열을 치유하는 일이다.
    둘째, 참 교회 표지로서의 권징을 회복해야 한다. 신사참배는 권징을 유명무실한 법으로 사문화(死文化)시켰다. 참 교회상을 회복하기 위한 진정한 사역은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법에 따라 목회현장에서 권징을 성실하게 실천하는 일이다.
    셋째, 회개와 용서를 통해 교회의 거룩성을 추구해야 한다. 교회의 불완전한 거룩성은 분열을 정당화하지 않으며 오히려 교회 안에서 회개와 용서를 실천함으로써 성화를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영어초록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utline of the various types of Shinto shrine worshipers, and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confession of shame and guilty conscience, and to find ways to recover true church.
    In 1930s, Japanese imperial ideology which was the main thought of the colonial religion policies forced Korean Churches to carry out Shinto shrine worship. Shintoism was obviously a religious matter because it was the viol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mmandments among the Ten Commandments God commanded Moses at Mount Sinai. The pressure of Shinto shrine worship upon Korean Churches caused different perspectives among Korean Christians over how to respond to the Japanese arm-twisting policy. The confliction of Korean church denominations continued even after the liberation and put the brakes on the rebuilding the church. The result of Korean Church’s Shinto shrine worship caused the intractable problem, the matter of repentance after the liberation. Especially, the confliction of Korean church denominations about the matter of repentance emerged to be the most serious problem to solve in the Presbyterian denomination. Shinto shrine had brought out continuous tension and opposition and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as gone into disorganization.
    As a result, three repentance types appeared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in 1945: ‘inward repentance’, ‘relativism’, and ‘public repentance’.
    ① The type of ‘inward repentance’ aims individual private repentance before God compared with the public repentance.
    ② The type of ‘relativism’ emphasizes temporal situation and reflects the personal private position, specific action, and role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religious pragmatism.
    ③ The type of ‘public repentance’ highlights the public repentance before God and all the Christians according to the canon law of the penitential discipline compared with inward repentance and relativism.
    Today, what should we do to recover the true church?① Achieving one church through the public repentance: The foundation of unity is on the nature of the church itself. But Shinto shrine worship caused severe conflicts among the churches. Today, the absolute apostolic faith and tradition to achieve essential one church is to practice public repentance before God from the bottom of the broken heart.
    ② Recovering the penitential discipline as the mark of the true church: Shinto shrine worship caused a great crisis in the penitential discipline in Korean Church. The lost of the penitential discipline in the church debilitated the Christian piety, resulting in the spiritual incompetency of Korean Church. Today, the earnest work to recover the true church is to practice the penitential discipline in the field of ministry according to Christ’s institution.
    ③ Efforts to pursue the holiness and forgiveness of the church: The imperfect holiness of the church does not justify schism, but affords occasion for the exercise within it of the forgiveness of sins(J. Calvin). Today, Korean Church should try to pursue the sanctification and forgiveness of the church in order to overcome the aspects of the imperfect hol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