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권 개념의 본질과 근대주권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법철학적 주권론을 향하여 - (Critical Study on The Nature of Sovereignty and Modern Theory of Sovereignty- Towards a Jurisprudential Theory of Sovereignty -)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12
57P 미리보기
주권 개념의 본질과 근대주권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법철학적 주권론을 향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집 / 27권 / 2호 / 385 ~ 441페이지
    · 저자명 : 이현경

    초록

    소위 ‘탈-주권’과 ‘주권 과잉’의 모순적 공존 현상 속에 주권의 문제는 오늘날 여러 차원에서 또 다시 중요한 주제로 부상한다. 근대법질서와 공법학의 근본개념인 주권은 근대국가형성기에 특수한 시대적, 정치사회적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사회적 구성물이다. 근대적 산물로서 주권 개념은 최고성, 절대성, 최종성, 영속성 등을 특징으로 하며 ‘항구적인 최고 지배 권력’으로 정의되어왔다. 하지만 오늘날 전지구적 차원에서 이러한 절대주의적 주권관에 도전하는 다양한 현상들이 출현하였고 이에 따라 주권 개념과 근대 주권론의 운명을 두고 열띤 논쟁이 전개된다. 그런데 주권 논쟁은 대부분 근대적 주권관이 여전히 타당하고 유용한 것인지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에 더하여 주권 개념을 갖는다는 것 자체가 갖는 잠재적 위험성이나 해악에도 주목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배경과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제2장에서는 ‘주권’이 ‘본질적으로 다투어지는 개념’이자 ‘군집 개념’이기에 그 자체로 모호성을 갖는다는 점을 규명한다. 이를 통해 주권 논쟁은 사실 주권 개념에 대한 상이한 의미에 기반하거나 잘못 겨냥되어 ‘애매성의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지적하면서, 그 해법도 복합적일 수밖에 없음을 밝힌다. 제3장에서는 주권 개념을 정치적 사실로 바라보는 입장과 오롯이 법률적 개념으로 다루려는 법규주의적 입장 양극단의 환원주의를 논하면서, 결론적으로 주권은 정치적-법적인 복합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제4장에서는 근대 주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수행한다. 그 과정에서 ‘주권의 역설’과 ‘주권론의 역설’을 제기하면서, ‘주권자 없는 주권론’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논구한다. 대안 모색의 차원에서 주권론의 세 가지 이론 모델-전통적 이해방식을 대변하는 ‘주권 실체설’, 그에 대항하는 ‘통치 정당화 원리설’, 그리고 관계적 접근을 결합한 ‘주권 신탁설’-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주권에 대한 가치-관계론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런 문제의식을 담아내기 위한 또 하나의 틀로 ‘상징적 형식으로서 주권’을 제안한다. 이는 주권 개념과 근대주권론에는 근본적으로 지배-복종관계와 부정의 문제가 잠재되어 있음을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권 개념의 사유화’ 현상까지도 포괄할 수 있는 유용한 관점이다. 제5장에서는 오늘날 주권 논쟁의 양상이 결국 근대 주권 개념과 이론에 대한 수정주의적 변용의 틀 안에 갇혀있음을 지적하면서 이런 현상을 ‘주권주의의 독침’이라고 부른다. 요컨대, 본고에서 필자는 주권의 본질에 관하여 ‘정치적-법적 개념으로서 주권’(논제1), ‘가치-관계적 함수로서 주권’(논제2), ‘상징적 형식으로서 주권’(논제3) 테제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완전하고 대안적인 주권론은 ‘법철학적 주권론’으로 발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그 주제와 범위를 제시하면서 글을 맺는다.

    영어초록

    Among the contradictory coexistence phenomenon of so-called “post-sovereignty” and “sovereignty surplus”, the issue of sovereignty emerges as a significant topic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se days. Sovereignty, the fundamental concept of modern legal order and public law, is a social composition created by political and social needs in a specific perio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tate. As a modern product, the concept of sovereignty has been defined as ‘permanent supreme ruling power’, characterized by supremacy, absoluteness, finality, and permanence. However, various phenomena that challenge this absolutist view of sovereignty have emerged around the world, and accordingly, there is an active debate over the concept of sovereignty and the fate of the modern theory of sovereignty. Most of the sovereignty debates focus on whether the modern view of sovereignty is still valid and its utility. In addition, the author insists on focusing on the potential dangers or harms of having the concept of sovereignty. This article consists of the background and awareness of the problem as follows.
    First of all, chapter #2 clarifies that “sovereignty” is “essentially contested concept” and “cluster concept” and has vagueness in itself. Through this, it is pointed out that the sovereignty debate can be based on different meanings of the concept of sovereignty or commit an “error of ambiguity”, and the solution is also complex. Chapter #3 discusses the extreme reductionism of the legalist position, which treats the concept of sovereignty as a political fact, and argues that sovereignty is a political-legal complex concept. Chapter #4 deals with an objective review of modern sovereignty theory. Through the process, we discuss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the ‘theory of sovereignty’ while dealing with the ‘paradox of sovereignty’ and the ‘paradox of sovereignty theory’. In terms of exploring alternatives, three theoretical models of sovereignty theory; ‘substantial theory of sovereignty’, ‘justification theory of governance’, and ‘fiduciary theory of sovereignty’ are proposed. In conclusion, the author proposes ‘sovereignty as a symbolic form’ as another way to raise this problem,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 value-relational approach to sovereignty. This is a valuable perspective that can show that the concept of sovereignty and modern sovereignty fundamentally have problems of dominance-submission and injustice, as well as cover the phenomenon of ‘privatization of the concept of sovereignty’. Chapter #5 points out that the aspect of the recent sovereignty debate is eventually trapped in the frame of revisionist transformation of modern sovereignty concepts and theories, and calls this phenomenon the “sovereignty sting”. In this article, the author proposes the theme of ‘sovereignty as a political-legal concept’ (Thesis 1) ‘sovereignty as a value-relational function’ (Thesis 2) and ‘sovereignty as symbolic form’ (Thesis 3). Through these three thsis on sovereignty, the author discussed the essence and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sovereignty and modern sovereignty theory in a multidimensional way. Finally, it concludes by emphasizing that a complete and alternative theory of sovereignty should be developed into a ‘jurisprudential theory of sovereign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