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키케로(Cicero)의 정당방위론 (Cicero’s theory of self-defen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5.02
33P 미리보기
키케로(Cicero)의 정당방위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6권 / 1호 / 99 ~ 131페이지
    · 저자명 : 송시섭

    초록

    본고는 로마법상 정당방위가 인정되게 된 역사적인 배경과 사상적인 기원을 탐구하면서, 특히 로마공화정 후기의 대표적인 법률가인 키케로의 정당방위론을 소개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를 위해 키케로의 생애와 업적을 살펴보고(Ⅱ), 로마법상 정당방위론의 전개과정도 개략적으로 살펴본 뒤 (Ⅲ), 키케로의 밀로를 위한 변호연설문에 나타난 정당방위 이론을 재조명해보고 (Ⅳ), 끝으로 그의 정당방위론의 시대적, 쟁점적 확대과정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Ⅴ) 키케로의 정당방위 이론은 기본적으로 12표법을 통해 구축된 로마법의 정신을 담고 있지만, 그의 사상적 뿌리인 스토아주의의 영향이 지대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더불어 밀로 변호연설을 통해 키케로는 국가를 수호하기 위한 정당방위이론을 전개하고, 이를 ‘폭군방벌’을 뒷받침하는 논리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정당한 전쟁’이론과도 맞닿아 있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현대의 ‘방어적민주주의’, ‘적대 형법’등의 이념과도 괘를 같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법학의 영역에서 법사학이 설 자리가 점차 좁아지고 있는 현실을 볼 때, 본고가 탐구하고자 하는 작업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질없기까지 하다고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많은 제도들의 뿌리에 해당하는 역사적 탐구 작업을 포기한다면 우리는 앞으로 갈 방향을 잃고 방황하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따라서 여전히 시험을 위한 법학이 횡행하는 법학 영역에서 소중한 법원칙의 뿌리를 깨내는 작업은 누군가는 해야 하고, 그 시도는 끊이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고의 주된 연구대상이 되었던 키케로의 밀로 변호연설 속에서도 우리는 지금의 고민을 해결해 줄 빛을 발견하게 된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ideological origins of the recognition of self-defense under Roman law, and to introduce the theory of self-defense of Cicero, a representative jurist of the late Roman Republic. To this end, we will examine Cicero’s life and achievements (Ⅱ), briefly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heory of self-defense under Roman law (Ⅲ), reexamine the theory of self-defense as shown in Cicero’s defense speech for Milo (Ⅳ), and finally explore the process of his theory of self-defense’s expansion over time and issues. (Ⅴ) Cicero’s theory of self-defense basically contains the spirit of Roman law established through the Twelve Tables, but it cannot be denied that it was greatly influenced by Stoicism, the root of his ideology. In addition, through the defense speech for Milo, Cicero develops the theory of self-defense to protect the state and uses it as a logic to support ‘punishment of tyrants’. This perspective can be said to be in line with the theory of ‘just war’. Furthermore, we can see that it is in line with the ideologies of modern ‘defensive democracy’ and ‘hostile criminal law’. In light of the reality that the place for legal history in the field of law is gradually narrowing, the work that this paper seeks to explore may not only be difficult, but may even feel futile. However, if we give up the historical exploration that is the root of many of the systems we use today, we may lose our way and wander. Therefore, in the field of law where jurisprudence for examination is still rampant, someone must do the work of digging up the roots of precious legal principles, and such attempts must continue. In Cicero’s defense of Milo, which was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we find a light that will solve our current concer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