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텔레비전 드라마와 한류 담론- 한류 진화론과 위기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Television Drama and Discourse of Korean Wave - A Critical Study focused on the Korean Wave Evolution Theory and Crisis Theo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12
32P 미리보기
텔레비전 드라마와 한류 담론- 한류 진화론과 위기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45호 / 337 ~ 368페이지
    · 저자명 : 박노현

    초록

    한류는 21세기 한국의 문화적 욕망이 집약된 조어이다. 일련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해 1990년대 후반 외부로부터 부여된 이러한 기표는 2010년대인 현재에 이르는 동안 주로 내부로부터의 갱신을 통해 더욱 다양한 기의로 확장되었다. 서양의 대중문화에 대한 학습의 산물인 현대/한국/대중/문화에 대한 동양과 서양의 열광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것이었다. 자연히 한류는 발신지의 발신자로 하여금 스스로의 콘텐츠가 지닌 특장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한편, 수신지와 수신자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찰과 분석을 시도하게끔 만들었다. 하지만 역사 이래 단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했던 이러한 문화적 제국의 경험은 한국 사회를 맹목(盲目)으로 이끌었다.
    한류를 둘러싸고 사회 각계에서 제기되는 최근의 진화론과 위기론은 이러한 맹목의 사례라 할만하다. 진화론과 위기론의 팽팽한 공존은 대단히 의미심장하다. 1990년대 후반 TV드라마와 K팝으로부터 출발한 한류가 2010년대 초반인 현재 3.0 혹은 4.0 등의 버전으로 격상되었다는 진화론과 한류가 한때의 유행에 그칠지도 모른다는 걱정과 불안을 앞세우며 변화를 주창하는 위기론의 공존은 곧 한국 사회에서 한류가 차지하는 무소불위의 가치를 증명해주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한류는 일종의 정언명령인 셈이다. 하지만 한류에 대한 수신지와 수신자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이러한 정언 명령으로서의 한류가 지닌 허상을 여실히 폭로해준다. 세계적 문화시장에서 한류는 독보적인 문화콘텐츠가 아니라 다양한 문화와 다양한 취향이 접속하는 가운데 다른 국가와 다른 민족의 문화가 과거에 그래왔던 것처럼 특히 ‘지금/여기’에서 유난히 각광을 받는 문화적 ‘흐름’의 하나일 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한류에 대한 담론은 이제까지의 진화론 및 위기론과는 사뭇 다른 방향 선회를 요구 받는다. 그동안 한류 담론은 발신지/발신자로서의 한국과 수신지/수산자로서의 외국이라는 일방적 관계에 함몰되어왔다. 그러나 21세기의 대중문화는 더 이상 일국적 콘텐츠가 아니라 초국적 콘텐츠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자연히 이제 한류 담론은 종래의 편협한 대상과 범주로부터 벗어나 보다 너른 대상과 범주로 옮겨가야 한다. 그것은 한류를 한국 문화에 대한 외국의 향유라는 일방적 생산과 소비의 관계로 고집하는 문화 제국적 폐쇄성을 지양하고, 한국 문화에 대한 외국의 향유 및 외국 문화에 대한 한국의 향유가 어우러지는 문화 횡단의 흐름을 살피는 일이다.

    영어초록

    Korean wave is a coinage that represents strong cultural desire of Korea in the 21st century. The Significance that external factors give to a series of Korean pop culture during late 1990s has expanded to even more various Signifies up to these days largely owing to renewal taking place from the inner part. The enthusiasm for Modern/Korea/Pop/Culture, which is the fruit of studying Western pop culture, in both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was unexpected. That has led the Korean Wave to review characteristics of its contents as the 'sender' of the place of dispatch, and, in the mean time, also led to more active observation and analysis on the recipient of the place of reception. However, such cultural empirical experience that Korea has never been though in its history has led Korean society to blindness.
    The Evolution theory and the Crisis theory, which have been raised around the Korean wave throughout the society in recent times, are classic examples of 'blindness'. The tight coexistence of the Evolution theory and the Crisis theory is significantly meaningful. According to the Evolution theory, the Korean wave, which was originated from TV dramas and K-pop in late 1990s, has now been significantly upgraded to 3.0 or even 4.0 versions. On the other hand, the Crisis theory expresses concerns that the Korean wave would only last for a short duration, and thus encourages some changes to occur. The coexistence of these two theories is a testimonial to the absolute power of the Korean wave in its society. In other words, the Korean wave could function as a categorical imperative in Korean society. However, the recent studies on the recipient and the place of reception of the Korean Wave explicitly reveal illusion of the Korean wave as a categorical imperative. The Korean wave is not a dominant or exclusive cultural content in the global culture market where a wide range of different cultures and different tastes interact. Instead, it is simply a 'spotlighted' cultural flow in the present time just like some other cultures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ethnicities were in the past.
    The discourse on the Korean wave now demands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existing theories including the Evolution theory and the Crisis theory. The discourse on the Korean wave has been sunk in a un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being the sender of the place of dispatch and the Western being the recipient of the place of reception. However, the fact that Pop culture in the 21st century is no longer bound to be an exclusive content for a certain nation, but is transnational, should not be disregarded. The discourse on the Korean Wave should move on to focusing a wider range of objects and categories from now on rather than its narrow scope in the past. This is to study the Korean wave as a stream of trans-culture, whereby cultural exchange occurs interactively, thereby revising the conventional 'culturally closed' view of the Korean wave as a mechanical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