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0년대 박영종 동요ㆍ동시론의 의미—아동잡지 수록 동요ㆍ동시론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Park, Young - Jong’s theory of children’s songㆍchildren’s poem in the 1940’s - Focusing on the theory of children’s songㆍchildren’s poem included in children’s magazin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5.12
22P 미리보기
1940년대 박영종 동요ㆍ동시론의 의미—아동잡지 수록 동요ㆍ동시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동문학연구 / 29호 / 113 ~ 134페이지
    · 저자명 : 박영기

    초록

    박영종은 1930년대에 많은 동요, 동시를 창작하고 1940년대에는 이를 바탕으로 ≪아희생활≫, ≪주간소학생≫, ≪소학생≫, ≪어린이다이제스트≫ 등에 동요ㆍ동시론을 발표하였다.
    그가 등단한 1930년대는 프롤레타리아 동요ㆍ동시론이 활발히 전개되는 시기였지만 이 시기의 동요ㆍ동시론 대부분이 일본의 사이조 야소, 노구치 우죠, 기타하라 하쿠슈 등이 전개한 이론을 소개하고 이에 이념적 견해를 덧붙이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실질적인 의미에서 한국적 동요ㆍ동시론의 전개가 미미했던 시기였다.
    이때 1940년 ≪아희생활≫에 수록된 박영종의 「동시독본」은 초보적인 형태이지만 ‘동시’의 본령에 접근하기 쉽게 동시 창작의 길을 보여준 글이다. 박영종의 동시론은 동시의 소재에 대해 다양한 방면으로 접근하고 관찰, 추론할 수 있도록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이끌어낸 후, 이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동시를 쓰도록 유도하는 구체적인 창작법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동 시기에 거의 만나볼 수 없었던 것이다.
    광복이 된 후에는 어린이들이 일제의 잔재에서 벗어나 한글로 자신의 감정을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동시보다 친근한 동요로 회귀하였다. ≪주간소학생≫과 ≪소학생≫에 「동요 짓는 법」과 「동요 맛보기」를 연재하여 외국 아동문학이론가의 영향을 받지 않은 독특한 스타일의 동요론을 내놓았다. 한국의 전래동요와 창작동요를 예시로 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좋은 동요 작품을 소개하게 하는 의미도 함께 지닌다.
    「동요 짓는 법」은 ‘동요작법’의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동요 맛보기」는 ‘동요 감상법’의 성격을 띠고 있다. 「동요 맛보기」는 다양한 방면에서 동요를 감상할 수 있도록 여러 동요를 소개하고 작품을 해설하였다. 비록 그가 1950년대 이후 저서에서 ‘동요보다는 동시’를 쓰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그것은 동요가 가진 자수율이 어린이들의 동요 창작을 방해할까봐 염려하는 마음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에게 동요와 동시의 구분은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니었다.
    박영종은 그만의 독특한 방식, 즉 이미지를 극대화하여 동화적 상상력으로 동요와 동시의 감수성을 포착하고 이를 표현하도록 하는 동요ㆍ동시론을 전개하였다. 이는 박영종이 추구하는 시세계의 궁극적 이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Park, Young-Jong composed children’s songs and children’s poems in 1930’s and hepublished theory of children’s song and children’s poem in ≪Ahuisaenghwal≫, ≪Sohaksaeng≫, ≪Children digest≫ in 1940’s. In 1940’s, Park, Young-Jong’s reading book of children’s poem which was included in ≪Ahuisaenghwal≫ was start of the Korean style children poem theory. Although it was rudimentary form, it opened the way to compose children’s poem to approach easily to the children poem’s characteristic. Park, Young-Jong drawed out children’s imagination and he induced children to compose children’s poem. There was no these kinds of approach at that period.
    After our independence, he tried to help the children to escape from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o express their emotion in Hangul. To do these, he returned to children’s song which is more friendly than children’s poem. By publishing 「how to compose children’s song」 and 「foretaste of children’s poem」 serially in ≪Jugan Sohaksaeng≫ and ≪Sohaksaeng≫, he presented his unique theory of children’s son which was unaffected by the foreign children’s literature theorist. Park, Young-Jong developed his theory of children’s song and children’s poem by his own unique way. His unique way is to catch the impression ability of children’s song and poem by image maximizing and to express them. This is the way to express his eventual ideals that he pursue with children’s song and children’s po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동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