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효의 진리론 논증 (Won-Hyo’s Proof of the Theory that Mahāyāna was Expounded by the Buddh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3
28P 미리보기
원효의 진리론 논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5호 / 315 ~ 342페이지
    · 저자명 : 배경아

    초록

    원효는 대승불교가 불설(buddhavacana)인지 아닌지를 가르는 진리기준을 논리적 타당성에 두었다. 이와 같은 입장은 자신이 속한 부파의 전승교학만이 불설이라고 하는 견해를 비판함과 동시에 진리를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불교의 근원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전승되어온 성전이 아니라도 ‘논리에 부합하는 것’이라면 대승불교경전도 불설이며 진리일 것이기 때문이다.
    대승불교가 불설이라는 것을 입증하려고 시도한 것은 아상가, 자야쎄나, 현장, 원효가 모두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원효는 그 논증이 성공적이려면 우선은 상대편인 대론자도 인정할 수 있는 논법이어야 할 것이고 다음으로는 불설의 근거에 부합한다면 대승불교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불설 일 수 있다는 입장에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이와 같은 태도야 말로 대승불교의 정신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원효의 대승불설논증은 초기유가행파의 대승불설논증과 맥락이 닿아 있다. 이와 관련된 문헌적인 근거로 우선 원효의『대혜도경종요 大慧度經宗要』를 들 수 있다. 원효는 여기에서 붓다의 말이 진실한 것, 진리라는 것은 증성도리(證成道理)의 추리(比量)에 의해 증명된다고 말한다. 해심밀경에 등장하고 유가사지론에서 다루어지는 증성도리는 바른인식수단을 의미한다. 유가사지론에서는 불설이란 근본경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성문경, 율전, 아비달마와 대승의 경전과 논서들 모두 성언에 상응한다면, 즉 증성도리에 부합한다면 그것은 불설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아상가에서부터 자야쎄나, 현장, 원효에 이르기까지 『증일아함경』을 유례로 든 것 또한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유가사지론에 의하면 『증일아함경』은 하나하나의 불교주제들을 전승된 성전이 아니라 상응, 혹은 도리의 관점에서 불설이라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For a long time in the east asia, Mahāyāna Buddhism was thought to be concerned with the established truths. Because it is teaching included in Buddhavacana. Especially, Won-Hyo made an syllogism proving Mahāyāna's orthodoxy as follows. Pratijñā:The teachings of all the Mahāyāna scriptures are reasonable. Hetu: Because they are teachings not included in 'non-Buddhavacana admitted by both parties'. Dṛṣṭānta: Like Aṅguttaraāgama etc.
    The pakṣa, ‘Theteachings of all the Mahāyāna scriptures are reasonable’ i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cases of the pakṣa, ‘All the Mahāyāna scriptures are included in Buddhavacana’ which established by Jayasena, Xuan-Zang. Because of ‘included in  Buddhavacana’ changed ‘reasonable’. ‘reasonable’ means to correspond with logic (yukti or nyāya, 正理) in Sanskrit.
    ‘Yukti’ is interpreted in three regards. Firstly, according to Saṃghabhadra, ‘reasonable’ means ‘dharmatā’(法性) that the criterion by which abhidharma is included in Buddhavacana. Yukti (logic), thus, is a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dharmatā’(法性) Secondly, Bhāvaviveka (ca. 490-570) maintained that yukti(logic), or anumāṇa is the criterion by which Mahāyāna Buddhism is included in Buddhavacana. In the pramāṇa tradition, yukti, or anumāṇa is a source or ‘means’ of right knowledge. Namely, it is understood in respect of pramāṇa or means of right knowledge.
    Thirdly, in the Yogācāratradition, it means the proof of truth established by ‘means’ of right knowledge,  pratyakṣa (direct perception), anumāṇa, āgama, or upapattisādhanayukti. Won-Hyo’s ‘yukti’ also can be interpreted as to be related Yogācāratradition’s upapattisādhanayukti which is ‘means’ of right knowledge. Because of Won-Hyo referenced that Buddhavacana is proved by upapattisādhanayukti in『大慧度經宗要』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