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선거의 선후천론 (The Pre-Heaven and Post-Heaven Theory of Yoon Seon-Geo(尹宣擧))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11
24P 미리보기
윤선거의 선후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49권 / 57 ~ 80페이지
    · 저자명 : 이현중

    초록

    본고에서는 노서(魯西) 윤선거(尹宣擧)가 연구의 자료로 삼았던 『역학계몽』과 자신의 선후천론을 밝히고 있는 「후천도설」을 중심으로 그의 선후천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주희는 하도와 낙서를 괘효역학의 근거로 인식하면서도 도서와 괘효의 근원을 태극으로 규정하였다. 그는 하도와 낙서의 중심수인 십오와 오가 모두 태극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러나 노서는 낙서의 오수(五數)는 태극과 황극 양자를 모두 나타낸다고 하였을 뿐만 아니라 하도의 십오가 오에 의하여 구성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하여 노서가 하도와 낙서를 천인합일의 차원에서 이해하였음을 알 수 있다.
    노서는 팔괘도를 중심으로 제기된 선후천의 후천을 다시 선천과 후천으로 구분하여 본체를 나타내는 선천과 작용을 나타내는 후천을 연결하는 매개, 중심을 후천의 선천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는 육자녀(六子女) 가운데 장남과 장녀를 나타내는 진손괘(震巽卦)를 선후천 변화의 중심으로 규정하였다.
    노서가 선후천 변화의 중심으로 제시한 진손괘는 성인(聖人)을 상징한다. 성인은 본성을 그대로 발현하는 삶을 살아가는 존재이다. 따라서 진손괘는 삼극의 관점에서는 천도와 인사를 일관하는 황극을 나타낸다.
    노서는 진손괘의 부각을 통하여 주희, 소옹이 태극을 중심으로 선후천을 이해함으로써 천지 중심, 건곤중심의 선후천론을 제기한 것과 달리 황극을 중심으로 선후천을 이해하였다.
    또한 그는 서괘원리를 <삼색도(三索圖)>로 그리고 잡괘원리는 <팔궁도(八宮圖)>로 나타내고, 양자를 각각 후천의 본체와 후천의 작용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노서의 선후천론은 선천과 후천의 본체 그리고 후천의 작용을 태극과 황극 그리고 천태극(天太極)의 삼극의 구조를 통하여 이해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Heaven and Post-Heaven Theory of Noseo Yoon Seon-geo centered on his Doctrine of Post-Heaven (後天圖說). However, since the Doctrine of Post-Heaven by Noseo is based on the studies of I-hsueh Ch'i-meng, this study compares the two to investigate.
    Zhu Xi recognizes Hetu(河圖) and the Luoshu(洛書) as the evidence of the hexagram-line divination, but at the same time, defined that the root of the diagram-pictures and hexagram-lines as Taegeuk(太極). He claimed that the numbers 15 and 5, which are the central numbers of Hetu(河圖) and the Luoshu (洛書) both signify the Taegeuk(太極).
    However, Noseo not only claimed that the number 5(五數) of the Luoshu represents both Taegeuk(太極) and the Hwanggeuk(皇極), but also claimed that the number 15 of the Hetu(河圖) is consisted from 5. As such, Noseo understood Hetu and the Luoshu in terms of the theory of ‘Heaven-Man Unity (天人合一)’.
    Noseo divided again the post-heaven from the pre-heaven and post-heaven which was brought up centered on the Eight Trigrams(八卦圖) into pre-heaven and post-heaven, and defined the pre-heaven of the post-heaven as the mediator and center that links the pre-heaven, which signifies the main body, with the post-heaven, which signifies the reactions. As well, he defined the zhenxungua(震巽卦) which signifies the first son and daughter among the sixchildren(六子女) as the center of the change of pre-heaven and post-heaven.
    The zhenxungua(震巽卦) that Noseo suggested as the center of the change of pre-heaven and post-heaven signifies the saint(聖人). Saints(聖人) are those who live the life of the natural human nature(本性). Therefore, in the perspective of the triode(三極), zhenxungua signifies the Hwanggeuk that goes through the Providence and human things.
    Noseo understood the pre-heaven and post-heaven centered on the Hwanggeuk through highlighting the zhenxungua, in contrast to Zhu Xi and Shao Yong who suggested the Pre-Heaven and Post-Heaven Theory centered on heaven and earth or the universe based Taegeuk.
    H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structure of the Xugua(序卦) is consists of the shangjing(上經) starting from the qiankun(乾坤) and ends in the kanli(坎離) and the xiajing(下經) starting from the zhenxungendui(震巽艮兌) and ends in the kanli(坎離), and claimed that the xugua(序卦) and zagua(雜卦) each signifies the pre-heaven of the post-heaven and post-heaven of the post-heaven. Thi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Noseo’s understanding of the pre-heaven of the pre-heaven and the post-heaven, and the post-heaven of the post-heaven through the structure of triode(三極) consisting of the Taegeuk, Hwanggeuk and Cheontaegeuk(天太極).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