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의 독서론 고찰 (A Study on the Reading of King Jung-j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8
30P 미리보기
정조의 독서론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41호 / 85 ~ 114페이지
    · 저자명 : 박수밀

    초록

    본 논문은 이른바 책의 정치를 펼친 정조의 독서론에 초점을 두어 정조의 독서 목적과 독서 방법을 규명하고 나아가 문체반정을 일으킨 정조의 책에 대한 태도를 살피고자 한 것이다. 정조는 글에는 그 시대의 정치와 문화가 담겨 있으므로 문체를 통해 그 시대의 풍속과 도덕, 윤리를 살필 수 있다고 생각했다. 도에 뜻을 두고 책을 읽지 않으면 내면을 망치고 풍속을 병들게 한다고 생각해서 패관잡기를 물리쳤다. 특히 패관소설은 사람의 마음을 가장 해친다고 보았다. 정조는 책의 내용뿐 아니라 책의 형태도 문제 삼았다. 누워서 보는 중국 본과 중국 책상을 엄격하게 막았다. 하지만 정조는 사학(邪學)으로 불린 서학(西學)에는 상대적으로 너그러운 태도를 보였다. 서학에 물든 사람은 가르치고 이끌어서 바른 도(道)로 돌아오게 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정조는 서학에 물든 자는 망민이 아닌 교민(敎民)의 대상이라고 생각했다. 나아가 정학(正學)을 하면 사학(邪學)은 저절로 물리칠 수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는 독서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정조는, 선입견이나 편견을 없애고 글을 읽는 활법(活法)의 독서를 강조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통치자의 시각에서 글을 바라보았기에 유익한 책과 해로운 책의 경계는 분명하게 구별했다. 또한 정조는 배워야 할 과목의 내용과 분량을 정해 놓고 공부하는 과정(課程)의 독서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으며, 세자 시절부터 반드시 초록(抄錄)을 했다. 정조는 초록을 박문약례의 한 방법으로 이해했으며 초록을 통해 중요한 대목을 기록하고 글의 흐름을 파악했다. 나아가 정조는 박람강기보다는 정독(精讀)을 지향했다. 다음으로는 정조의 독서 내용과 범주를 살펴보았다. 정조는 도덕과 치세(治世)를 위한 학문으로써 실(實)을 추구했으며 이에 따라 실용서도 적극 읽었다. 육경학과 제자서 및 주자서를 정학(正學)으로 세우면서도 탁상공론에서 벗어나 실용적이고 실천적인 성격의 서적을 적극 수용했다. 정조는 군주였기에 정통성 지키기라는 통치자의 시각에서 책을 읽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trace the view of reading of king Jung-Jo, a king to provide his policy with books, a lover of learning, to reveal the purpose of his reading and the way of reading and to find out his attitude about books in raising the restoration of writing style.
    Jung-Jo thought that we can know culture, morality, etic of the times through writing style, for the writing contains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If people focus only on Tao, a kind of truth, not reading books, their spirits could be destroyed and culture could be spoiled. So he denied the wrecked customs and gambling. He believed that the wrecked novels spoil the mind of people. He pointed out the form of books together with their contents. He strictly did not allow Chinese example of reading and Chinese study table in laying position. However he allowed with open mind the Western Study considered as bad study at that time. The Western Study had no big problem for him if people were correctly educated and returned to the truth. He considered that people deeply involved in the Western Study were not people to be spoiled, but to be educated. He thought If they would study correctly, the Western Study could disappear automatically.
    Then, next step is to find out the way of reading. Jung-Jo insisted on the vivid way of reading, excluding preconception and prejudice. He stressed the reading of process which is to fix the contents and quantity of learning subjects. Thirdly, Jung-Jo had written abstracts since his childhood. He understood abstract as one way of Bakmunyakryeo - living and acting correctly through wide studying - and wrote key points and appreciated the stream of writings. He aimed for careful reading rather than Bakramganggi - remembering after reading many kinds of books -.
    Next it finds the contents and category of Jung-Jo’s reading. He read the books of practices actively, searching for the practice as a study for morality and ruling. He raised Yukkyunghak, the book of disciple, the book of Joo-Ja as a principal study, at the same time he accepted any kinds of practical and active books of excluding useless talks. Jung-Jo was a king, so he read books in a view of strengthening kingship and protecting his authenti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