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칭對稱삼분법과 사회연기론: 새로운 인식론과 사회이론의 모색 (Symmetrical Trichotomy and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A Search for New Recognition and Social Theo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대칭對稱삼분법과 사회연기론: 새로운 인식론과 사회이론의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1권 / 2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유승무, 최우영

    초록

    이 글은 새로운 인식론 및 사회이론의 원천으로서 한국의 전통적 세계관, 그 중에서도 특히 ‘대칭삼분법’과 ‘사회연기론’에 대해 고찰한다. 이주제는 지배받는 지배자인 한국의 사회학자들에게는 매우 생경하게 느껴지겠지만, 일상의 한국인 일반에게는 많이 친숙하고 흥미로운 대상이기도 하다. 동양사회사상의 사회학 이론화를 모색하고 있는 이 글은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과연 어느 정도 일반화의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반성하고 그러한 성찰에 기초하여 연구의 수준을 한층 더 심화시켜 나가고자 한다.
    본 논문은 특히 대칭삼분법 및 연기사회론(혹은 사회연기론)이 이른바서구 보편이론에 견주어 볼 때 어느 정도의 위치에 놓여 있는지, 구체적으로 말해 그것의 이론적 의의를 정밀하게 따져보는 동시에 대안 이론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렇다면 왜 대칭삼분법이고 왜 연기사회론인가? 필자들은 그동안 대칭삼분법을 배태하고 있는 연기법적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의 대안 사회이론적 가능성을 탐색해왔고, 대칭삼분법과연기론이 뿌리깊은 이분법의 유전자를 가진 서구발 특수이론의 맹점을극복하고, 나아가 탈서구 보편이론으로서 주목할 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목적을 위해 논문에서는 우선 이분법에 깊이 연루된 기존의 사회이론, 특히 현상학과 루만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그 한계 돌파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어 그 대안으로서 대칭삼분법을 설정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논증해 보인다. 그런 다음 연기법을 응용한 사회이론, 즉 연기사회론을 구성하고, 그 연기사회론과 대칭삼분법 사이의 논리적정합성을 입증한다. 끝으로 이러한 논의가 함축하고 있는 사회학적 의의를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article discusses Korea's traditional world view as a source of new perceptions and social theory, especially ‘symmetrical trichotomy’ and ‘Buddhistic social theory of causality.’ The theme may sound very unfamiliar to the controlling South Korean sociologists, but it is also a familiar and interesting subject for the everyday Korean public. The article, which is seeking a social theory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is intended to reflect on how much research has reached the level of generalization and to further deepen the level of research based on such reflection.
    This paper specifically illustrates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e symmetrical trichotomy and Buddhistic social theory of causality in terms of its location relative to the so-called universal theory. So why symmetrical trichotomy and Buddhistic social theory of causality? The authors have been exploring the alternative social theory of ontology, perception and value, which is the reason for overcoming the laws of dichotomy.
    For this purpose, the paper first critically reviews the existing social theories deeply involved in the dichotomy, particularly the theories of Phenomenology and Luhmann, and suggests the need to break through thelimits. It is then demonstrated in theory that a symmetrical three-way method(trichotomy) can be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It then forms the Buddhistic social theory of causality applied to it, namely, the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and demonstrates the logical consistency between the two theories. Finally, these discussions present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ese discus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