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윤식의 문학교육론 (Kim Yun-sik's Literature Education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12
29P 미리보기
김윤식의 문학교육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연구 / 52호 / 149 ~ 177페이지
    · 저자명 : 우신영

    초록

    이 연구는 비평가이자 교사로서 김윤식에게 문학교육이 어떤 의미이자 소명이었는지 탐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전무후무하다 해야 마땅할 그의 비평 작업이 많은 후속 연구를 낳은 것과 달리 문학교사로서 그의 면모는 그동안 충분히 주목되지 못했다. 이에 이 연구는 비평가와 교사의 몫을 그가 어떻게 달리 정립했는지 살핀 후, 이 정립이 다시 모순과 혼란 속에 빠져 들어가는 양상을 밝혔다. 그리고 그것을 돌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문학교육과 교과서에 대한 가치화 작업을 통해 모순과 혼란을 잠정적으로 종합하고자 했다.
    그의 문학교육론은 문학비평과 문학교육의 상대적으로 명쾌한 분할로 시작했다가 이후 그러한 분할의 불가능성을 감지하고 탐구하는 기점을 맞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문학교육, 특히 문학 교과서의 역사성과 이념성을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그가 그토록 강조했던 역사의식과 세대의식을 연속시키는 거대한 작업으로 규정하게 된다. “문학교육은 가치중립적이다”에서 “문학교육은 이데올로기적이다”로, 다시 “문학교과서는 세대 감각의 산물”이며 “문학교육은 세대를 잇는 작업이다”는 명제로 그의 문학교육론의 변천을 요약할 수 있다.
    문학교사로서 김윤식의 자부심은 서사적 정체성의 통합 과정이자 그 정체성을 영원히 구현하려는 욕망이었다. 해석자이자 연구자, 교육자인 동시에 표현자를 꿈꾸었던 그는 그러한 작업 사이의 모순과 간극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문학교사로서의 정체성을 발명해 냈다고 할 수 있다. 즉 세대와 세대, 그리고 각 세대의 과제들 사이의 연속성을 담보하는 ‘줄’을 문학이라 보았고, 다음 세대에게 줄 타기를 전수하는 자를 문학교사라 보았던 것이 김윤식의 문학교육론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literature education to Kim Yun-sik, a literary teacher who has received insufficient attention. To fill this gap, the study examined how he established literary critics and teachers separately. This paper describes how this division regressed into contradiction and confusion. To resolve this, Kim Yun-sik tried to achieve synthesis through the work of valuing literary education and textbooks.
    His literary education theory began with a clear division of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education. He then acknowledged and explored the impossibility of such a division. Finally, he defined literary education as connecting historical and generational consciousness.
    Kim Yun-sik's pride as a literary teacher was integrating narrative identity and pursuing the goal of realizing it forever. As an interpreter, researcher, and educator, he shaped his identity as a literary teacher by integrating the contradictions and gaps between works. He saw literature as the “tightrope” that guarantees generational continuity. Therefore, at the core of his literary education theory, he defined literary education as walking a tightrope to the next 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