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해 한용운 교육론 고찰 (A Study of Man-hae, Han yong-hoon's Educational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7.03
27P 미리보기
만해 한용운 교육론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제연구 / 27호 / 57 ~ 83페이지
    · 저자명 : 이지중

    초록

    본 논문은 만해의 조선불교유신론을 중심으로 그의 교육론의 형성 및 사상적 배경, 그리고 그 내용 등에 나타난 교육적 의의를 탐구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해 교육론의 형성 배경엔 개화기의 시대적 상황과 불교의 사회적 역할 가능성에 대한 그의 기대가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개화기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 의해 불교가 새삼 유교의 대안으로 인식되면서 얻게 되었던 새로운 생명력을 조선 사회를 개혁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여겼다. 그리고 이러한 생명력을 살리기 위한 방편으로 승려 교육을 꼽았다. 만해는 자신의 교육론을, 불교 사상을 기반으로 삼아 근대적 지식을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궁극적으로는 조선 사회를 개혁하기 위한 방편으로 삼았던 것이다.둘째, 만해 교육론의 사상적 배경에는 민족주의적 성향과 더불어 진화론 및 근대주의적 세계관이 강하게 배어있었다. 만해 역시 동시대의 많은 지식인들처럼 교육을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이해하였고, 이를 통해 조선 사회와 민족의 계몽이라는 동시대의 매우 절실한 과제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사회 진화론적 세계관을 당시 우리의 시대적 현실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자 나아가 그 현실을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타개하고 미래를 준비해 나갈 수 있는 관점에서 수용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근대주의적 지식인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교육론을 펼쳤다. 이러한 면모 역시 불교 개혁을 통해 조선 사회의 혁신을 이루고자 선택하였던 방편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이었다.셋째, 만해 교육론의 내용을 보면, 그는 승려 교육을 위한 교육의 바탕으로 보통학, 사범학, 그리고 외국유학을 들었다. 보통학은 근대 세계의 일상 생활을 불편 없이 영위하기 위한 기초 지식의 습득 및 전문학의 이수를 위한 기초로서, 사범학은 근대식 학교의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서 그 필요성을 논하였다. 그리고 외국유학은 선진 문명국의 근대적 지식을 빠른 시일 내에 배워 우리 나라의 개혁과 계몽을 위해 일할 수 있는 승려를 육성시킬 수 있다는 차원에서 적극 권장하였다. 아울러 그는 학문의 핵심으로 사상의 자유를 들었다. 그에 의하면 사상의 자유는 전통적으로 불교 교육의 소중한 특색으로서 근대식 승려 교육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해 반드시 되살려야 할 개혁적 과제였다. 이렇듯 만해의 교육적 이론과 활동은 불교라는 민족의 전통 사상을 토대로 서구의 신문명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조선 불교와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였던 개화기 당시의 주목할 만한 교육적 사건으로서 그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formational,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e meanings of Man-hae, Han yong-hoon's educational theory focused on Cho-sun-bulkyo-yushinlon(朝鮮佛敎維新論).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conditions of the time and his expectation for Buddhism's social role in the Chosun dynasty had great influence on his educational theory. In that time, Buddhism had regained new life force because Confucianism did not have its traditional power hold in the Chosun dynasty any more. He believed that Buddhism could enlighten the society, so he argued that revitalizing monk education at first was needed. He thought monk education was a basic way to accommodate western knowledge and social systems independently, and a method to renovate the Chosun dynasty. Then, I found that his educational background has the inclination of nationalism and a viewpoint of modernism. He understood education was the best method to solve the very problems for the revolution of buddhist and the Chosun society of contemporary intellectuals. Finally, we can understand that he argued the basic educational systems as the education for common knowledge(보통학), the education for teacher training(사범학), the studying abroad. In addition, he asserted the importance of thinking freely. He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 for buddhist education was the freedom of thinking, for he though it was the only way to lead monks into enlightenment by themselves. No matter what study it was, if there was no freedom of thinking, he thought, it could serve to make them slavers to the specific field. He thought that the special character of buddhist study must be revival in the modernistic buddhist education. In this way, we can interpret his educational theory has some points to be observed in educational history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