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각 논의에 내포된 인식론적 토대 : 쿠마릴라와 다르마키르티의 지각론 비교 (Epistemological Foundation within Debates on Perception: The Comparison between Dharmakīrti and Kumāril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04
28P 미리보기
지각 논의에 내포된 인식론적 토대 : 쿠마릴라와 다르마키르티의 지각론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4호 / 43 ~ 70페이지
    · 저자명 : 성청환

    초록

    미망사학파의 쿠마릴라와 불교논사 다르마키르티는 비록 생존 연대의 선후 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동시대의 인물이다. 각각 미망사와 불교의 철학적 논의의 정점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들의 사상은 지각의 논의에서도 서로 상반된다.
    두 사상가 모두 인식을 무모순성이라고 정의하여 유사성을 보이는 듯하나, 쿠마릴라는 무모순성이 내재적 정당성으로 보증된다고 주장하고, 이는 결국 베다의 영원성을 논증할 수 있게 되는 근거가 된다. 반면 다르마키르티는 인식의 무모순성을 인간의 목적 성취로 규정하여 그 지향점이 다르다. 이를 바탕으로 지각에 대한 정의와 논증에서도 이들은 첨예하게 대립한다. 쿠마릴라는 지각은 다르마를 알 수 없는 것이라고 하고 비분별 지각과 분별적 지각으로 구분한다. 초세간적 능력을 가진 요가행자나 일체지자의 존재를 부정하게 되며, 이는 결국 세간의 경험적 상식적인 수준의 지각을 논의한다. 반면 다르마키르티는 지각의 비분별임을 강조하며 언어와 결합가능성이 배제된 것이라고 정의하며, 개별상만이 지각의 인식대상이라고 한정한다. 그리고 지각을 네 가지로 구분하여, 요가행자의 지각을 인정하며, 일체지자의 존재를 긍정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제공한다. 쿠마릴라와 다르마키르티의 지각의 논의는 서로 다른 인식론적 토대 위에서 서로 다른 지향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Dharmakīrti (ca. 600-660) and Kumārila Bhaṭṭa (fl. 7C) were contemporaries, even though there is no agreement about the exact time that both thinkers lived. Kumārila as a Mīmāṃsāka criticizes the doctrine of Dignāga, who is the founder of Buddhist logico-epistemology while Dharmakīrti is the successor of Dignāga and the defender of Buddhist doctrin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doctrine of perception between Dharmakīrti and Kumārila and examine the foundational meaning behind the discussion of perception. Kumārila and Dharmakīrti both define knowledge as non‐contradictory but the implicated meaning is different. According to Kumārila, knowledge must not be contradictory with other knowledge which is justified with the doctrine of intrinsic validity. Eventually it is to protect the doctrine of eternality on the Veda. In the case of Dharmakīrti, non‐contradictory indicates the satisfaction of human expectations.


    Given the different meaning on knowledge, Kumārila states that perception is the method of knowing dharma because perception can only be perceived in the present objects appropriately connected with sense‐organs. In contrast to Kumārila, Dharmakīrti advocates that perception is the only reality in the perspective of the ultimate truth, even though he accepts that perception and inference are the method of knowledge. Due to the dichotomy of the objects particularity of the objects is the object of perception and universality is the object of inference. Particularity is the momentary existence and the only reality in terms of ontology.


    Kumārila categorizes perception as non‐conceptualized perception and a conceptualized one. The latter is followed by the former immediately and perception has both characteristics between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n objects. In the case of non‐conceptualized perception there is only the individual without distinction of particularity or universality, which is merely lack of capacity of the perceiver. Thus, perception in Kumārila theory is nothing but common sense in empirical realms. For Kumārila, the Veda is eternal and faultless, which is the only method of knowing dharma. Through the injunction of the Veda, human beings can achieve happiness.


    Dharmakīrti defines perception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conception and classifies perception into four different categorizes. Among four kinds of perceptions, Dharmakīrti’s perception is eventually inclined to yogic perception which can be known beyond sense perception. Yogic perception has double meanings; on one hand it indicates that the Buddha as the omniscience is the foundation of truth, the other is for Buddhists who can be a Buddha with awakening through meditational practice.


    Therefore, Kumārila and Dharmakīrti have different the epistemological foundations in the discussion of perce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