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권리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격권론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Discussions about right of personality with a perspective of Right - Focusing on japanese discussion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6
39P 미리보기
권리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격권론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사법학 / 79권 / 3 ~ 41페이지
    · 저자명 : 고철웅

    초록

    한국과 일본의 인격권론은 인격권 개념을 인정하고 그 보호를 두텁게 하고 있는 점에서 공통적이며, 한국 및 일본 사회가 민법상 인격 보호를 중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최근 한국에서는 생명, 신체, 명예와 같이 종래 강고한 인격적 법익으로 생각되어 온 것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약한 인격적 법익에 관하여 판례가 전개되었고, 이를 통해 인격 보호가 더욱 세밀화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법익을 인격권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포섭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권리론의 전개가 특징적인 일본의 논의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권리론이 헌법과 민법과의 관계론을 전제로 한 민법상의 사권론으로 전개되고 있는 점 또한 한국의 논의에 시사를 줄 수 있다. 본론의 검토로부터 불법행위법의 관점(좁은 의미의 권리론)과 민법총론의 관점(넓은 의미의 권리론)에서 한국과의 관련성을 생각해 보기로 한다. 한국 불법행위법은 권리요건 대신 위법성이라는 유연한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학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 현대사회에서 새로이 등장하는 인격적 법익들을 보호하기에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다만, 반드시 위법성 요건 내에서 권리요건을 검토한다고만 볼 수 없으며, 손해 요건에서 권리침해를 검토하거나 심지어 일부 판례는 권리성을 언급하는 경우도 있다. 위법성 요건으로 충분히 판단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굳이 조문상 존재하지 않는 권리성을 언급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권리성을 언급하는 점이 불법행위 성립을 판단할 때 어떤 이득이 있는지, 손해 요건에서 권리침해를 판단하는 데 어떤 근거가 있는지 등의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사권(私權)의 한 권리로서의 인격권이라는 관점은 인격권을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기본법인 민법이 규율하는 범위 내에서 인격권이 기능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실정법상의 인격권이 법철학적인 자연권(droit naturel) 내지 헌법학상의 인권(droit de l’homme)과 구별될 수 있는 시점을 제시한다. 인격권을 인(人) 내지 인(人)법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은 민법전에서 인격권을 자리매김하는데 있어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이 논의는 2004년 민법개정안 제1조의2에 관한 검토논의와 직접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남은 과제는 다음과 같다. 현대 사회에서 대두되는 인격권 보호에 관한 이론적 작업을 위해서는 인격권 개념이 다른 권리들과 어떠한 상호간의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논의될 필요가 있다. 사권(私權)으로서의 인격권이 구체적인 의미를 가지려면 한국사회에서의 민법과 헌법과의 관계 규명을 통해 공권과 사권의 관계를 올바로 적립할 필요가 있다. 인격권의 자리매김과 관련해서는 인(人) (person)⋅권리능력 개념과의 관계정리를 통해 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격권론은 한국 민법의 ‘人의 복권(復權)’ 현상을 설명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widely accepted about the notion of right of personality in Korean and Japanese society after the middle of 20 centuries. This phenomenon means that Korean and Japanese society aim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ity. Recently in Korea, legal principles about the protection of personality such as weak interests protected by law becomes more precisely by jurisprudence. Traditionally, main interests about the protection of personality were life, human body and the honor which were thought as firm interests by law. Japanese discussions about the theory of right suggest the way how to take these weak interests in the discussions about right of personality in korean contexts. Also, japanese discussions about the theory of right on the premise the discussions between constitutional law and civil law focusing on the private right in civil law suggest meaningfully in korean contexts.
    After reviewing of the point, we will consider the point of view of the tort law (the narrow sense of rights) and the perspective of the civil law general theory (broad sense of rights) in relation with the korean civil law contexts. Since the korean tort law has a flexible concept of illegality instead of a right, it has a good environment to protect the newly emerging personal interests in modern societ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Nonetheless, some precedents still refer to condition of rights. Despite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judge only by the illegal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y there is a right to mention, and what difference is there in judging the establishment of tort by mentioning the right.
    The point of view of personality rights as a private right is to recognize the right of the members of the civil society governed by the civil law, which is the basic law of society, and, more practically, it makes personality rights a distinction between constitutional human rights(droit de l’homme) and natural rights(droit naturel). On the other h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aw of person” or “person” can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osition of personality rights in civil law. These two points of view are more directly related to the discussion of Article 1-2 of the 2004 Civil Law Amendment,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w.
    The remaining tasks are as follows. For the theoretical work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ity rights emerging in 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he concept of personality rights has relation with other rights. In order for the personality rights as private rights to have a specific meaning, it is necessary to properly acquir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nd private right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 law and the Constitution in Korean society. In relation to the positioning of the personality right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 with the concept of person⋅legal capacity. Such a theory of personality rights will be a work that explains the phenomenon of ‘rebirth of person’ in Korean Civil Co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