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대 민요론 연구 Ⅲ -김태준과 김사엽의 민요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Modern Folk Song Theory Ⅲ -Centering on Kim Tae-jun and Kim Sa-yeop’s Theory of Folk So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5.07
28P 미리보기
한국 근대 민요론 연구 Ⅲ -김태준과 김사엽의 민요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47호 / 77 ~ 104페이지
    · 저자명 : 박선애

    초록

    이 논문은 1930년대 대표적인 민요 연구자인 김태준과 김사엽의 연구를 일부만 비교 검토한 것이다. 민요의 정의를 보면 첫째, 김태준과 김사엽은 모두 민요의 정의를 서구와 일본에서 찾고 있다. 둘째 김태준은 민요는 무슨 필요에 의해 생겼다고 한 반면, 김사엽은 민요를 조선어로 나타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셋째, 김태준과 김사엽은 모두 민요는 민중의 가요라고 하여 민요의 향유층을 민중으로 보았다. 그러나 김태준은 계급을 강조한 민중의 가요라고 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계급이란 주로 프로 문학에서 거론되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기반을 둔 민중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민요의 지역성에서 김태준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전승되고 있는 조선의 민요를 각 도―경상도, 전라도, 평안도, 함경도, 제주도, 황해도, 경기도―별로 소개했다. 반면에 김사엽은 조선민요를 유교문화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영남고유민요인 “쾌지나칭칭노-네”를 들어 조선가요의 향락성과 도피사상의 표리관계가 있음을 서술했다. 그리고 제주도민요는 이 섬의 제반생활기구가 민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함과 동시에 조선민요의 보고라고 했다.
    민요의 분류에서 먼저, 김태준은 ‘(1) 정연(情戀), (2) 서사(叙事), (3) 생활(生活), (4) 의식(儀式), (5) 아가(兒歌), (6) 골계(滑稽)’의 6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민요 분류 방법의 기준이 모호하다. 즉 그가 설명한 ‘정연’은 내용적인 분류이고, ‘생활’과 ‘의식’, ‘아가’는 기능적인 분류이며, ‘서사’는 장르적인 분류이고, ‘골계’는 미학적인 분류이다. 반면에 김사엽은 우선 표현형태로 분류하고, 다음으로 표현주체의 주객관계로 분류했다. 표현 형태에서 ‘(1) 동요(童謠), (2) 이요(俚謠), (3) 민요(民謠), (4) 신민요(新民謠)와 신동요(新童謠)’ 4항목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표현주체로는 서사민요와 서정민요로 분류했다. 이러한 김사엽의 민요 분류는 전중초부(田中初夫)의 민요 분류 방법을 차용하여 민요를 표현형태와 표현주체의 주객관계로 분류한 것이다.
    1930년대 김태준과 김사엽의 민요론은 당대 민요 현실에서 요구되는 민요론을 제시하고, 문제점을 지적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the studies of Kim Tae-jun and Kim Sa-yeop were compared and examined in part who are the representive folk song researchers of the 1930's. To consider the definition of folk song, both Kim Tae-jun and Kim Sayeop firstly looked for the definition of folk song in West Europe and Japan. Secondly, Kim Tae-jun said that folk song came into being by some necessity, but Kim Sa-yeop emphasized that folk song should be represented in the Joseon(Korean) language. Thirdly, both Kim Tae-jun and Kim Sa-yeop said that folk song is the popular song of the people and considered the people to be the enjoying class of folk song.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Kim Tae-jun emphasized the class. Here the class can be said to mean the people based on the proletarian class mentioned in the proletarian literature.
    In the locality of folk songs, Kim Tae-jun introduced Joseon folk songs, distributed and transmitted nationwide, by Gyeongsangdo, Jeollado, Pyeongando, Hamgyeongdo, Jejudo, Hwanghaedo and Gyeonggido. But Kim Sa-yeop explained Joseon folk songs in relation to the Confucian culture. And he mentioned “Koejinachingchingnone(쾌지나칭칭노-네)” a Yeongnam(嶺南) proper folk song and described that pleasure-seeking and escapist idea of Joseon folk songs are double-faced. And he explained that Jejudo folk songs are the treasure house of Joseon folk song, and the various living tools in Jejudo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folk song.
    Kim Tae-jun classified folk songs into 6 items of (1) love(情戀), (2) narration(叙事), (3) living(生活), (4) ceremony(儀式), (5) children's song(兒歌), and (6) joke(滑稽). But the criterion of classifying method of folk songs is vague. In his explanation ‘love’ is classification by the content, ‘living’ ‘ceremony’ and ‘children’s song’ are classification by the function, narration by the genre and, and by the aesthetics. But Kim Sa-yeop firstly classified by the expression form, and next by the subject-object relation of the expression subject. By the expression form into 4 items of (1) children's song(童謠), (2) nature song(俚謠), (3) folk song(民謠), and (4) new folk song(新民謠)' & new children's song(新童謠). And by the expression subject into folk ballad(敍事民謠) and lyric folk song(抒情民謠). Kim Sa-yeop's this classification of folk songs employed the folk song classsification method of Tanaka Hatshu(田中初夫) and classified folk songs by the expression form, and next by the subject-object relation of the expression subject.
    The folk song theory of Kim Tae-jun and Kim Sa-yeop in the 1930’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folk song theory demanded by the folk song reality of the day and indicated the probl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