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종자론’의 문예론적 특성과 통치담론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 and the discourse of ruling of a "Seed Theory" in North Kore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12
24P 미리보기
북한 ‘종자론’의 문예론적 특성과 통치담론화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평화학연구 / 13권 / 4호 / 89 ~ 112페이지
    · 저자명 : 장용철

    초록

    북한은 1970년대 초반 주체사상을 중시하는 ‘주체문예이론’을 정립하였다. 김정일은 주체문예이론의 창작방법론으로 ‘종자론’을 제시하였는데, 여기서의 ‘종자’란 작품의 중심을 이루는 ‘핵’이며, ‘사상적 알맹이’이라고 정의하였다. 김정일이 이 시기에 종자론을 주장한 것은 체제의 중요한 통치기제로 작용하는 문학예술 분야에 있어, ‘주체’라는 종자를 삽입, 유일체계 확립에 있어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체제 순응작품 생산에 순기능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치사회적으로 이 시기는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이 개방화의 물결을 타고 있어, 북한 나름의 독자체계를 고수하기 위한 문화적 대응의 측면이 있었다.
    이후, 종자론은 ‘주체문학론’의 핵심이론으로 기능하며, 문예작품 일반의 창작 및 평가원칙으로 적용되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 다시 김정일에 의해 ‘신사고’라는 통치담론의 일환으로 등장하였다. 종자론이 문예분야를 넘어 정치사회 전반에 걸쳐 창조의 원칙으로 등장한 것은 종자론은 바로 김정일의 철학관이 함축된 독자적인 통치이론이고, 그것은 결국 북한 체제가 요구하는 정체성이기도 한 ‘주체사상’의 종자를 고수, 재생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은 향후에도 종자론을 정치·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창조의 원칙으로, 대집단창작을 비롯한 '속도전' 등에 있어 정치사회적 동의기제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North Korea set up a “Juche, or Self-reliance Literary Theory” which puts an emphasis on Juche Ideology in the early 1970s. Kim Jong-il, North Korea's dear leader, proposed a “Seed Theory” as a key creative writing methodology for a juche literary theory. A “seed” here is the “nucleus” which is the central fact as well as an idealogical kernel of literary works as well. The reason why Kim Jong-il advocated the seed theory in that period of history is because that in the literary and art sector which functioned as an important ruling mechanism of his regime, he inserted a seed of “juche” in the literature and arts and attempted to make it play a right function which was capable of producing the pieces which were responsive to his regime and would contribute effectively to establishing a single system of North Korea. Also, as in that period in the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socialist countries in Eastern Europe were riding the waves of openness, North Korea tried to stick to its own independent system through such a seed theory in the aspect of culture.
    Afterwards, the seed theory worked as a key theory for “juche literary theory” and served as the principle for creating and evaluating the general literary pieces.
    Entering into the 2000s, the seed theory reappeared by Kim Jong-il as a part of “new thinking.” What the seed theory appeared as a principle for creation across the politics and society as a whole beyond literature is because that it is Kim Jong-il's independent ruling theory which connotes a view of his philosophy and also is a way through which North Korea would hold fast to and reproduce a seed of “juche ideology,” identity which the North Korea system requires. Therefore, North Korea is likely to continue to use this seed theory as a principle for creation across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spectrum as well as a mechanism for politic-social consent in the “speed battle” including its big group creation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평화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