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론에 관하여 - 중도론적 해석에 대한 비판 - (On Aristotle’s Doctrine of the Mean - A Criticism against the Doctrine of the Moderation -)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3
19P 미리보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론에 관하여 - 중도론적 해석에 대한 비판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倫理硏究 / 1권 / 124호 / 37 ~ 55페이지
    · 저자명 : 김도형

    초록

    성격적 탁월함(ethike arete)은 ‘지나침과 모자람 사이의 중용적 상태(mesotes)’라는 이론적 정의를 제시하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2.6의 논의를 연구자들은 통상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론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 ‘중용적 상태(mesotēs)’의 ‘진의(眞意)’는 무엇일까? 일부 연구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런 논변을 통하여 ‘우리가 처하게 되는 일상에서 최선이자 이상적인 선택은 필연적으로 중도적 행위와 감정이므로, 우리는 항상 이런 중도를 잘 파악하고 추구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으로 주장한다. 필자는 이런 입장의 대표자인 Kraut(1989)의 중도론적 해석을 비판한다. 먼저 크라우트의 주장을 분석하여 그의 주장의 근저에 있는 전제들이 무엇인지 전제가 보일 것이다. 그리고 EN 2.1~2.6의 맥락 분석을 통해 중용론이 ‘실천적 지침’이며, 중용 개념의 본질적 의미가 개별적 행위와 감정에 있다는 크라우트의 전제 및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논증할 것이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중용적 상태’(mesotēs)라는 표현의 진의가 무엇인지 필자의 고찰을 제시하며 이 글을 마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a question, what Aristotle intends to say through his doctrine of the mean. Richard Kraut in his book, Aristotle on Human Good (Princeton, 1989), claims the following: the doctrine of the mean has been provided as a substantial guide for excellent action, so what he wants to describe predominantly in it is actions and emotions in particular circumstances. Also since those actions and emotions are necessarily between doing as much as possible and doing nothing, what he wants to deliver through his discussion on the mea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essage of the doctrine of moderation, that is, medio tutissimus ibis.
    However, we disagree. To criticise Kraut, first of all, we show, through our analysis on Aristotle’s discussion on habituation and the excellence of character in general, that Kraut’s fundamental premise - Aristotle’s doctrine of the mean has been provided as a practical guide for action in particular circumstance- is problematic. Secondly, we criticize his another argument that through the concept of mesotēs Aristotle primarily indicate individual action(praxis) and emotion(pathos). Finally, having explained why Aristotle uses the expression ‘(mesotēs)’ on the character or disposition and what he intend through applying that explanation onto such abstract concepts, we conclude this pap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倫理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