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空觀論의 無我思想 -寂護 『眞實綱要』의 常住個我論 비판- (Anātmavāda of Śūnyavāda in Śantarakṣita's Tattvasaṃgrah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06
24P 미리보기
空觀論의 無我思想 -寂護 『眞實綱要』의 常住個我論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권 / 68호 / 35 ~ 58페이지
    · 저자명 : 김성관

    초록

    적호寂護는 A.D. 7-8C 인도의 유가행자립논증파 공관론자로서 유가행(유식)불교와 중관학(공관)불교를 하나의 체계로 연결시킨 최정예 불교철학자이다. 『진실강요』는 인도철학 제학파들을 불교철학과 대비시켜 비판한 인도철학 전반의 백과사전이다. 적호는 『진실강요』에서 수론학파, 정리학파, 승론학파, 성론학파, 베단타 불이론 등 육파철학과 자이나 나의파 및 불교 독자부犢子部가 주장한 개아의 상주성, 단일성, 편재성, 포괄성 등을 비판했지만 대아인 진아의 존재를 적시摘示하여 비판하지 않았다.
    붓다(Buddha)의 무아론이 개아(ātman)의 상주를 비판한 것인가? 대아인 진아(Ātman)의 존재조차 비판한 것인가? 하는 문제는 불교철학사 전반에 관련된 근본문제이다. 필자는 그동안 원전해역原典解譯을 중심으로 『진실강요』에 관해 고찰해 왔는데 이 논문은 이에 기반하여 적호가 『진실강요』에서 육파철학 등의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내용들을 집약集約함으로써 실유불성설이나 여래장설 등의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 것이다.
    적호가 수론학파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상주개아[Puruṣa]의 단일성·편재성·상주성과 근원물질인 원질原質[Prakṛti]의 다양성·개별성·생멸성의 모순을 비판한 것이다.
    정리·승론학파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상주개아가 욕구의 기체基體로서의 저장통과 같은 원인이면서 ‘상기想起’의 단일한 원인이라는 주장의 논거가 비결정적임과 욕망 등은 계속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상주하는 개아 속에는 있을 수 없음을 비판한 것이다.
    성론학파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상주개아가 인지하는 자이기 때문에 영원하면서 하나”이며 “생성 소멸하는 고락苦樂 등이 상주개아 속에 혼융된다.”라는 주장의 모순과 “‘내가 안다’라는 관념 속의 ‘나’라는 생각이 인지행위자를 알게 한다."라는 주장의 ‘나’라는 관념은 업력 때문에 발생한 근거 없는 것임을 비판한 것이다.
    베단타 불이론의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상주개아의 단일성과 영원성을 비판한 것이고 자이나 나의파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상주개아가 포괄과 배제의 두 성질을 모두 지닌 심心이라는 주장의 모순을 비판한 것이다.
    불교 독자부 상주개아론을 비판한 핵심은 “영혼이 온蘊과 다르다고도 다르지 않다고도 할 수 없다”는 주장의 모순을 비판한 것이다.

    영어초록

    Śantarakṣita is a excellent Buddhist-Philosopher as Yogācāra-Svatantrika- Madhyamika of Śūnyavāda who builds a bridge across the Yogācāra(Vijñānavāda) from the Madhyamika(Śūnyavāda) in India(A.D.7-8C). Tattvasaṃgraha is a sort of Encyclopaedia in which Śantarakṣita criticizes the India-Philosophies of six systems etc. for the truth of Buddhism. Śantarakṣita criticizes the eternity, uniqueness, omnipresence, inclusion of ātman(the individual ego) of Sāṃkhya, Nyāya·Vaishesika, Mīmāṃsa, Vedānta Advaita, Jaina Digambara, Buddhist Vātsīputrīya, but does not criticize the true self(Ātman) explicitly.
    The Core-Subject of Buddhist-Philosophy is the question Whether Buddha's anātmavāda criticizes the eternity of the ātman(the individual ego) only or criticizes the true self(Ātman) together. Because this Subject answers to the question whether Buddhadhātuvāda, and tathāgatagarbhavāda etc. as Mahāyāna Buddhism is the orthodoxy or the heresy from Buddha's anātmavāda.
    I have studied on Tattvasaṃgraha of Śantarakṣita during that time, now on the basis of the study, I have studied on Śantarakṣita's critique of the eternity of the ātman(the individual ego) with the hope which this study will develop the study of Buddhadhātuvāda, tathāgatagarbhavāda etc with the relationship of anātmavāda.
    Śantarakṣita radically confutes Sāṃkhya's ātmavāda by the contradiction in Puruṣa with Prakṛti, and Nyāya·Vaishesika's ātmavāda by the indetermination of ātman as the substance and the unique cause, and Mīmāṃsa's ātmavāda by the contradiction of the eternity and uniqueness of ātman as the recognizer and the contradiction of the fusion of 'pleasure and pain' etc. in ātman, and Vedānta Advaitavāda's ātmavāda by the indetermination of the uniqueness and the eternity of ātman, and Jaina-Digambara's ātmavāda by the contradiction of ātman as the inclusive and the exclusive, and Buddhist Vātsīputrīya's ātmavāda by the contradiction of ātman as separation and non-separation from the pañca skand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