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老子의 宇宙論에 나타난 宇宙本體論과 宇宙生成論의 이중구조와 그 사회·정치적 함의 (The Double Structure Combining Ontological and Creational Theories Which Was Shown in the Cosmology of Lǎozǐ and Its Social-political Significant Meaning)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12
43P 미리보기
老子의 宇宙論에 나타난 宇宙本體論과 宇宙生成論의 이중구조와 그 사회·정치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태연구 / 19권 / 3호 / 171 ~ 213페이지
    · 저자명 : 박동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노자의 우주론을 탐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노자의 우주론이 우주본체론과 우주생성론의 이중구조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결론에서 노자 우주론 구성의 사회·정치적 함의를 찾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전국중기 태사담(太史儋)에 의해 재구성된 『노자』의 우주론은 우주본체론과 우주생성론의 이중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노자』의 본체론이 파르메니데스처럼 불생불멸(不生不滅)하고, 분할할 수 없는 유일실체나, 흔히들 서구에서 세계사물을 본체와 현상으로 나누고, 본체는 진실한 것이지만 현상은 가공적인 것이라 규정하는 것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여전히 우주본체론의 성격을 갖추고있다고 할 수 있다. 『노자』에도 ‘우주만물이 존재하는 근거’, ‘본원(本原)’ 및 ‘그 어떤 것에도 의존하지 않고 존재하는 절대유일의 실체’라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거의 모든 연구자가 동의하는 것처럼『노자』에는 분명한 우주생성론의 구조가 있다. 필자는 그 구조를 ‘도(道)→일(一)→천지(天地)→음기(陰氣)·양기(陽氣)·화기(和氣)→만물’의형태라 보았다. 이제 문제는 『노자』에서 이렇게 우주론의 두 체계를구성하고자 한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그것은 그가 생존했던당시의 사회·정치적 문제들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처럼 보인다.
    첫째는 유가, 묵가, 법가의 인의(仁義)·겸애(兼愛)·법(法)을 능가하는보다 고차원적인 원리를 구축함으로써 이들과 대항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통일제국의 통치시스템’을 구성하는 문제와 ‘통일왕권의 정당성’을 보증하기 위해서였다.
    둘째는 당시 팽배했던 존천(尊天)사조를 저지시키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天의 주재성과 인격성을 부정하고 비주재성과 비인격적인 도(道)를내세운 것이다.
    셋째는 법천(法天)의 구체적인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군주로 하여금그것의 특성에 따라 무위정치(無爲政治)를 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넷째는 세습군주의 지적·도덕적 한계 때문에 이를 통해 그의인위적인 독재를 막고자 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는 인식하기가 쉽지 않다. 감각할 수도, 언표할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의 계승자인 『장자』에서는 이를 보다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것을 변모시킨다. 그래야 법천(法天)하여 사회·정치 현실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Lǎozǐ’s theory of the cosmology. Thus, it proves that his theory of the cosmology has the double structure combining ontological and creational theories. Also in the conclusion, it explores the social and political significant meaning of the composition of Lǎozǐ’ theory of the cosmology.
    From the result of his research, Lǎozǐ’s theory of the cosmology, which was reorganized by the Taishidan(太史儋) of the middle Period of the Warring Countries, was evidently double-structured. Though Lǎozǐ’s ontological theory differs from Parmenides’ theory of an eternal and indivisible absolute being, and the common Western view of dividing the universe into noumenon and phenomenon and defining the noumenon as being genuine and the phenomenon as being artificial, it can still be said that his theory belongs to the realm of ontology. In Lǎozǐ, there is the meaning of ‘the proof that the universe exists’, ‘the origin’, and ‘the reality of the absolute being that exists without depending on anything’.
    On the other hand, like almost all researchers agree, there is an evident structure of the formation of the cosmology in Lǎozǐ’s theory.
    The author viewed the structure as the format of ‘Dao(道)→Yi(一, the one)→Tiandi(天地, heaven and earth)→Yinqi(陰氣, yin energy), Yángqì(陽氣), Heqi(和氣)→all things(萬物).’ Now the problem lies on the reason for constituting double structure of the theory of the cosmology in Lǎozǐ. That appear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and political matters of his era.
    First, he tried to create the theory of the higher dimension that exceeds the theory of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Jiānài’(兼愛), and ‘law’(法) of the Confucian, Mòjiā(墨家), and the School of Law. And through these, it was to assure the problem that contains ‘the political system of United Empire’ and ‘the justification of United Monarchy.’Second, it was to impede the surging trend of the respect for the heavens of the time. That is why he propounded non-presidency and depersonal Dao(道) and negated the heaven’s presidency and character.
    Third, by providing specific model of emulate the heavens(法天), it tried to force the monarch to follow its characteristic and govern by noninterference.
    Lastly, it was to avoid his forced dictatorship. Because there is the intellectual and moral limitation to hereditary monarch.
    However, with all these efforts, it is not easy to recognize Dao due to the impossibility of either sensing or perceiving. Thus, in his predecessor Zhuangzi(『莊子』), they changes it so that it can be easily understood. In this way, by doing ‘emulate the heavens’, it is more easily applied to the social and political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