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의 가정경영론(家庭經營論) (Ori Lee Weon-Ik's Theory of Family Manage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11
26P 미리보기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의 가정경영론(家庭經營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77호 / 317 ~ 342페이지
    · 저자명 : 윤혜민

    초록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의 조선사회는 국내외적으로 격변의 시기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은 40여 년 동안 재상으로 재임했으며, 특히 여섯 번이나 영의정의 자리에 올라 경륜을 발휘하는 등 국정운영의 주요 책임자로서 역할을 했다. 그는 종친(宗親)의 자제로 태어나, 정치적으로 중도의 노선을 걷고자 했다. 그런데 정치적 상황의 변화와 류성룡(柳成龍)과의 인연을 바탕으로 이원익은 점차 남인(南人)으로 변모해 갔고, 이로 인해 그의 후손들은 남인 가계와 통혼권을 형성하게 되었다. 특히, 근기남인(近畿南人)의 핵심 인물인 허목(許穆)과 윤휴(尹鑴) 및 채제공(蔡濟恭)이 이원익의 집안과 인척관계를 맺었다는 것이 주목된다.
    이원익은 치국(治國)과 함께 제가(齊家)에도 힘을 기울였다. 그는 자손들에게 특히 검덕(儉德)을 강조하였으며, 스스로 모범을 보여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 되었고 인조에게 관감당(觀感堂)을 하사받았다. 이원익은 자손들이 검덕의 정신을 이어나가기를 바라며, 재물을 경계하고 제사설행을 간소화할 것을 당부하는 유훈(遺訓)과 유서(遺書)들을 남겼다. 제사에 있어서는 삼년상 및 기제(忌祭)를 소찬(素饌)으로 진설하고, 시제(時祭)와 속절(俗節)의 묘제(墓祭) 제물(祭物)은 풍성함과 사치함을 숭상하지 말고 정결함을 중시하며, 제수도 십여 접시만 준비하라는 내용이었다.
    이원익은 성리학에 근거한 종법질서의 확립이라는 시대적 분위기에 따라 선영(先塋)의 관리를 추진하는데 있어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러나 그는 선영의 관리에 있어서 풍수설(風水說)을 따르는 사회적 통념으로부터 탈피하여, 천리(天理)와 인정(人情)을 보존하고 묘소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가족묘의 개념인 종산(宗山)을 운영하고 유지시키도록 했다. 이원익은 종산의 수호를 위한 묘전(墓田)과 영구적인 묘지기를 마련해둠으로써, 후손들이 이어갈 수 있는 그 체제를 완성시켜 놓았다. 이를 통해 이원익의 실무능력이 조정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발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원익이 후손들에게 당부했던 검덕의 정신과 제사설행의 간소화 및 종산의 수호 원칙은 그의 4대손인 이존도(李存道)를 통해 계승ㆍ발전할 수 있었다. 또한, 이원익의 풍수설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는 후대의 근기남인 실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Joseon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was in a period of upheaval both at home and abroad. In this period of rapid social and political change, Lee Won-ik served as a political leader for about 40 years. In particular, he played a major role in managing state affairs six times. Lee Won-ik was born as a descendant of Royal family and had the heart to share the rise and fall of the n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se families, it is understood that they took a middle course politically.
    However, based on the change i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his relationship with Ryu Sung-ryong, Lee Won-ik gradually changed into a Namin. This led his descendants to form a common marriage with a Namin family.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Heo Mok, Yoon Hue and Chae Je-gong, the key figures in the Geungi-namin, had a marriage relationship with Lee Won-ik's family.
    Lee Won-ik worked as hard to run the family as he did to govern the country. He emphasized frugal virtue to his descendants and set an example by practicing it himself. Lee Won-ik hoped that the descendants would continue the frugal virtue. He left wills to guard against wealth and to ask for simplification of ancestral rites.
    Lee Won-ik played a leading role in promoting ancestor worship work. He broke away from the conventional wisdom and rejected the theory of feng shui. He set up a policy to operate ancestral graveyard's mountain to effectively manage the graves. His critical attitude toward feng shui theory is believed to have had some influence on the scholars of Geungi-nam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