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顧愷之 傳神論과 蘇軾 傳神論의 비교 고찰 (Comparison Consideration on Gu Kaizhi's Chuanshen and Su Shi's Chuanshe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5
22P 미리보기
顧愷之 傳神論과 蘇軾 傳神論의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35호 / 5 ~ 26페이지
    · 저자명 : 강교희

    초록

    일찍이 교화 수단으로서의 도구적 역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고대 회화는 위진 현학의 등장과 함께 예술 작품으로서의 독립성을 부여받았다. 사물의 형(形)과 신(神)을 분리하여 사유하는 방식의 도입으로, 형태가 없는 신의 작품 반영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었고, 이러한 사유의 축적은 회화 영역에 ‘전신’이라는 명제를 탄생시켰다.
    전신은 인물 혹은 사물에 내재된 정신을 작품상에 구현하는 것으로서, 이에 관한 해석 가운데 고개지와 소식의 견해가 대표적이다. 동진(東晋)의 고개지(顧愷之)는 처음으로 전신을 제시하였으며, 북송(北宋)의 소식(蘇軾)은 고개지의 전신에 대한 주장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자신의 경험에 의한 구체적인 견해를 덧붙였다.
    그러나 전신론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고개지와 소식의 견해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같은 범주의 이론으로 간주함에 따라, 전신에 대한 정의가 다소 모호해진 경향이 있다. 고개지와 소식의 주장은 형상의 묘사와 함께 대상이 지닌 정신적 요소의 반영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출발점은 같지만, 실제로 그것을 구현하는 과정에 대한 관점이 크게 세 가지 지점에서 대조를 이룬다.
    첫째, 전신의 구현에 활용되는 매개의 범주가 상이하다. 고개지는 눈동자, 털 등 대상의 내부 뿐 아니라 배경 또는 정황 등 대상의 외부까지도 전신의 매개로 활용하였다. 반면 소식은 전신의 매개를 대상의 본질과 맞닿아 있는 지점으로부터 구하였으므로 외부 요소가 아닌 대상 자체를 통해 전신을 구현하고자 했다. 둘째, 대상의 변형 허용 범위에 대한 견해가 상이하다. 고개지는 대상을 미화하거나 연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대상의 신을 전달하는 매개에 대해서도 변형을 허용하였다. 반면 소식은 신을 전달하는 매개 이외의 요소에 대해서는 가감이 가능하지만 매개 부분은 자세하고 특징 있게 표현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셋째, 전신 구현의 목적이 상이하다. 고개지의 전신은 묘(妙)의 확보를 통해 창작자가 의도한 연출미를 추구하며, 소식의 전신은 대상이 본래의 그것답게 보이도록 하는 자연스러움[天]과 닮음의 확보를 통해 고유성 회복을 도모한다.
    위와 같은 점들로 인해 고개지와 소식은 전신은 각각 구분되어 인식될 필요가 있다. 또한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차별성과 함께 그것이 나타나게 된 구체적인 원인까지 파악할 수 있다면, 고대 중국 회화 미학의 전신에 대한 정의와 그 구현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한층 더 명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ncient Chinese painting that was focused on instrumental role for edification from earlier ages was given independence as art works along with appearance of Neo-Taoism in Wei and Jin Dynasties. By adopting reasoning method that divides objects into shapes and spirits, discussion on reflecting shapeless spirits in art works was escalated, and This accumulation of reasons gave birth to the range of paintings of the premise of ‘Chuanshen 傳神’.
    Chuanshen is to realize spirits innate in figures or objects on art works, which is represented by Gu Kaizhi(c.344∼406)'s and Su Shi(1037∼1101)'s opinions among interpretations on Chuanshen. Gu Kaizhi suggested Chuanshen for the first time and Su shi added concrete ideas from his experiences along with arousing Gu Kaizhi's opinion on Chuanshen.
    However, existing study of Chuanshen tends to have vague definition to a certain degree because it does not clearly categorize Gu Kaizhi's and Su Shi's opinions, but regards them as theories in the same category. Gu Kaizhi's and Su Shi's opinions have same fundamentals in that both of them pursued reflection of spiritual elements that the objects have along with depicting shapes, but in fact, perspectives on the process in realizing it largely contrasts into three points of view.
    Firstly, the category of vehicles that are utilized in realization of Chuanshen. Gu Kaizhi utilized not only inner elements such as figures' pupils or beard(hair) but also outer elements such as backgrounds or situations as vehicles of Chuanshen. On the other hand, Su Shi tried to get realization of Chuanshen through the object itself, not outer elements, because he found the vehicles of Chuanshen from the point where the vehicles meet the essentials. Secondly, their opinions are contrasted in the range of allow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objects. Gu Kaizhi allowed transformation of vehicles that carries spirits of objects in order to glamorize objects or maximize dramatic effect. Su Shi, in contrast, suggested that vehicles should be expressed concretely and characteristically, although other elements except vehicles are allowed to be adjusted. Thirdly, the purpose to realize Chuanshen is contrastive. While Gu Kaizhi's Chuanshen pursued dramatic beauty that is intended by the creator through securing 'Marvelousness 妙', Su Shi's Chuanshen aimed to restore uniqueness through securing 'Naturalness 天' and likeness that make objects look as itself.
    By those perspectives, Gu Kaizhi's and Su Shi's Chuanshen need to be understood respectively in separated ways. Moreover, it can be much clearer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Chuanshen in Ancient Chinese Painting Esthetics and the method of its realization if it is possible to grasp both the discrimination between Gu Kaizhi and Su Shi and the specific causes of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