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상론(意象論)’의 형성과 유학적 본성론의 우주⋅생태주의적 확장: ‘인공지능 윤리’를 위한 유학의 ‘성선설’과 ‘의상론’ 연구 (The formation of the 'Yixiang Theory' and the expansion of the cosmological theory of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 A Study on the 'human nature' and 'Yixiang Theory' of Confucianism for 'AI')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2
43P 미리보기
‘의상론(意象論)’의 형성과 유학적 본성론의 우주⋅생태주의적 확장: ‘인공지능 윤리’를 위한 유학의 ‘성선설’과 ‘의상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76호 / 197 ~ 239페이지
    · 저자명 : 김현미

    초록

    최근 인공지능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간의 본성과 의식에 대한 논의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는 의식이 없는 초지능이 얼마나 큰 위험을 초래할지에 대한 우려를 드러냄으로써 인공 지능의 개발 성과와 비교하여 본성과 의식의 연구에 소홀했던 현대 과학 기술에 자각과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그간 철학의 고유 영역이었던 인간의 본성과 의식의 문제는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의 개발을 앞두고 전 인류가 주목하는 논제가 되었다.
    AGI의 사유 원리, 판단 근거, 행동 원칙 등은 인류 사회를 비롯한 지구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므로, 우리는 AGI의 개발에 앞서 선한 본성을 고민해야 한다. 또한 AGI의 발명은 기계와 구분되는 우리의 독자적 가치를 증명해야 할 실존적 과제를 스스로 부여하는 일이다. 우리는 AGI와 구분되는 가치를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이 예고되는 현 시점에서 인류에게 주어진 주요 과제는 기계의 제작 기술이 있다기보다는 마음과 의식의 영역에 있다.
    그리고 유학의 성선설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데 적절한 지혜를 제공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유학은 서구 유럽 사회의 인간 철학이 매우 긴 세월 동안 ‘기계주의적 우주관’에 기초하여 전개되었던 것과는 달리 ‘유기체적 우주관’에 바탕을 두고 선한 본성을 논해 왔다. 동아시아의 ‘유기체적 우주관’에서 인간은 우주의 한 부분이자 우주를 닮은 소우주로서, 전체와 더불어 조화를 이루는 선한 본성을 타고 난다. 그리고 우리가 제작할 ‘인공지능’도 우주 전체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런 까닭에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철학적 과제를 해결하는 일에 동참하기 위하여 유학의 성선설이 형성되고 발전되어가는 과정을 논하였다. ‘인’ 사상에서 출발한 공자의 인식론은 맹자의 심신상관론으로 이어져 성선설의 골격을 이루었고, 여기에 ‘유기체적 우주론’인 ‘기화우주’와 한의학의 연구 성과가 더해지면서 심신일체의 인식론인 ‘의상론’이 형성되었다. ‘의상론’으로 인하여, 유학의 성선설은 실재하는 의학적 근거를 갖추게 되었으며, 자연으로서의 우리 ‘몸’을 통하여 인식 범위가 우주⋅생태주의로까지 확장되었다.
    ‘의상론’의 형성으로 유학의 성선설은 개인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만인을 향한 민주와 평등의 자세를 함유하게 되었으며, 앉은 자리에서도 전체를 사유한 유학자들의 책임 의식은 인류 사회를 넘어서 우주⋅생태계로까지 공감과 배려의 대상을 넓히게 되었다. 그러므로 유학의 성선설에 기초하여 전개된 유학의 본성론은 우주 전체와 조화를 이루며, 인류 사회를 풍요롭게 할 ‘인공지능 윤리’의 정립에 크게 기여할 현대 사회의 필수 학문이다.

    영어초록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cent years, discussions on 'human nature' and consciousness have emerged as a hot topic.
    Since AGI's thinking principles, grounds for judgment, and principles of behavior must be harmonized with the global environment, including human society, we should consider the good nature of AGI before developing it. In addition, the invention of AGI is to give itself an existential task to prove our independent valu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machines. How can we prove the value distinguished from AGI? At this time when the full-fledged opening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is expected, the main task given to mankind is in the area of mind and consciousness rather than the technology of making machines.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can provide appropriate wisdom to solve such problems. Confucianism in East Asia has discussed 'Good human nature' based on 'Cosmology of organisms', unlike the human philosophy developed based on 'Cosmology of machines' for a very long time. In East Asia's 'Cosmology of organisms,' humans are a small universe that resembles the universe and are born with a good nature that harmonizes with the whole. And AI that we're going to produce should also be in harmony with the entire universe.
    For this reason, this paper discussed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to participate in solving philosophical tasks for AI era. Confucius' epistemology, which originated from human philosophy, led to Mencius' psychosomatic correlation theory, forming the framework of 'Good human nature' theory, which was added to 'Cosmology of organisms' and the research results of oriental medicine. Due to the 'Yixiang' theory, 'Good human nature' theory of Confucianism has an actual medical basis, and the scope of perception has expanded to space and ecologicalism through our "body" as nature.
    Along the formation of 'Yixiang' theory, the theory of 'Good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included a democratic and equal attitude toward all, emphasizing individual "self-reliance" and "autonomy," and the responsibility of Confucian scholars who thought of the whole expanded their empathy and consideration beyond human society to space and ecosystem. Therefore,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of 'Yixiang', is an essential study in modern society that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I ethics' that will enrich hum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