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승랑과 원효의 상즉론(相卽論)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octrine of Mutual Identification between Seung-rang and Wonhyo)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8
32P 미리보기
승랑과 원효의 상즉론(相卽論)의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62호 / 137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승랑(僧朗)은 유무(有無)를 속제로 삼고, 비유비무(非有非無)를 진제로 삼고서, 진속이 아닌 것[비진비속(非眞非俗)]을 깨달음의 경지인 불이중도(不二中道)라고 상정한다. 승랑이 주옹(周顒)에게 전해준 ‘유무상즉(有無相卽)’이 ‘가명공(假名空)’ 사상으로 불이중도를 드러낸 것이다.
    불이중도를 확립한 승랑의 사상은 이원적(二元的) 범주론(範疇論), 무득(無得)의 오도론(悟道論), 방편적(方便的) 교화론, 상즉(相卽)의 실상론(實相論)으로 정리된다.
    반면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서 진제를 [시각의] 원성실성으로, 속제를 세속법인 변계소집성으로, 진제중도는 [본각의] 원성실성으로, 속제중도는 의타기성으로, 진제중도와 속제중도가 둘이 아닌 경지를 무이중도(無二中道)라고 상정한다. 원효가 『금강삼매경론』에서 해석한 일사구게(一四句偈)의 ‘생즉멸(生卽滅)ㆍ멸즉생(滅卽生)’은 ‘생멸상즉(生滅相卽)’의 경지이다.
    결국 승랑은 제법의 실상(諸法實相)을 해석할 때 가명공(假名空)사상으로 ‘유무상즉론(有無相卽論)’을 설명하고,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서 일사구게(一四句偈)를 설할 때 ‘생멸상즉론(生滅相卽論)’으로 설명한다.

    영어초록

    Seung-rang presumes that neither truth nor convention is the middle way of non-duality, a stage of enlightenment, by regarding existence and non-existence as the conventional truth and neither existence nor non-existence as the absolute truth. Seung-rang delivered the idea to Zhou Yong, that ‘existence and non-existence are mutual identification’ is ‘conventionally designated emptiness which reveals the middle way of non-duality. The ideas of Seung-rang, who established the middle way of non-duality, are summarized as ‘dual categorism, the theory to awaken to the way of nothing to be attained, skillful edifications, the theory of true characteristics of mutual identification.’ On the other hand, Wonhyo suggests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that the absolute truth is pariniṣpanna-svabhāva [of initial enlightenment], the conventional truth is parikalpita-svabhāva, that is, the secular law,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is pariniṣpanna-svabhāva [of original enlightenment],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 point of conventional truth is paratantra-svabhāva, and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is the stage at which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conventional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coexist. A gatha of four lines interpreted by Wonhyo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s that ‘production is in fact extinction and extinction is in fact production,’ is the stage of production and extinction are mutual identification.
    After all, Seung-rang advocates ‘existence and non-existence are mutual identification’ as conventionally designated emptiness and Wonhyo preaches ‘production and extinction are mutual identification’ as the real state of all elements when he clarifies a gatha of four lines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