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과학의 진화론 수용 비판: 경쟁의 공리와 진화론적 재벌론을 중심으로 (A critique of social science’s way of applying the theory of evolution: Focus on an axiom of competition and the evolutionary chaebol theor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03
33P 미리보기
사회과학의 진화론 수용 비판: 경쟁의 공리와 진화론적 재벌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97호 / 286 ~ 318페이지
    · 저자명 : 조원광

    초록

    여러 사회과학의 주요한 입장들은 경쟁이 효율을 낳는다는 명제를 의심할 필요 없는 공리로 여긴다. 이런 일이 가능한 것은 생존경쟁과 자연선택을 통해 종의 효율화와 혁신이 일어난다고 설명하는, 진화론이라는 ‘과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사회과학은 진화론을 수용함으로써 경쟁이 효율로 이어진다는 명제에 ‘객관적 근거’를 확보하게 된다. 하지만 사회과학이 이런 방식으로 진화론을 활용하는 것은 진화론의 여러 다양한 입론에 비추어보았을 때, 일면적이고 편파적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화론은 생존경쟁과 자연선택이 효율과 혁신을 만들어낸다는 명제를 보장하지 않는다. 굴드가 잘 지적하듯, 최적화를 규정하는 환경 자체가 무작위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살아남은 개체나 특질은 때때로 부산물에 지나지 않게 된다. 재벌의 사례는 이에 대한 좋은 예다. 재벌이 한국적 환경에 적응한 진화된 효율적이며 적합한 존재라고 보는 ‘진화론적 재벌론’의 설명과 달리, 재벌의 성립과 성장은 효율과 무관했고, 환경변화에서 적합한 적응을 하지도 못했다. 둘째, 진화론의 여러 입장은 경쟁에 따른 자연선택 이외에도 혁신과 효율에 이르는 다양한 길을 제시하고 있다. 공생진화가 대표적이다. 공생진화는 예외적인 양상이 아니라, 진핵 세포의 등장에서부터 식물의 등장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관찰되는 진화의 방식이다. 경쟁과 분쟁에만 초점을 맞추는 프레임 탓에 제대로 보지 못할 뿐, 사회에서도 공생진화의 수많은 사례가 존재한다. 생존경쟁을 통한 진화만을 특권화 할 이유가 없다는 말이다. 셋째, 현행과 같은 방식으로 진화론을 사회과학에 도입하는 것은 선택적 수용이다. 진화론의 다양한 입장을 무시한 채, 적응주의나 경쟁을 통한 자연선택만을 도입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일종의 순환보충이다. 애초에 사회과학에 존재하던 개념들이 진화론이라는 ‘과학’의 이름을 붙인 채 다시 사회과학으로 돌아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편파적이고 왜곡된 수용을 극복하고 좀 더 풍요로운 방식으로 진화론과 사회과학의 만남을 모색할 때다.

    영어초록

    Many social science theories consider the proposition which maintains competition leads to efficiency as an axiom. It is possible in virtue of a science called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explains efficiency and innovation of species are made by competition and natural selection. That is, social science theories can secure objective basis for the proposition that competition leads to efficiency by adopting the theory of evolution. But this way of applying the theory of evolution to social science theories is biased and partial, considering various positions of the theory of evolut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theory of evolution does not guarantee that competition and natural selection make efficiency and innovation. As Gould pointed it out, evolution of gradual efficiency is impossible because of a random change of environment. Sometimes, existing individual and property are just a byproduct. Many chaebols are good examples of Gould's theory. Unlike the 'evolutionary chaebol theory', the formation and growth of chaebols had nothing to do with efficiency. And chaebols didn't adapt to environment appropriately facing environment changes. Second, various positions in the theory of evolution suggested many ways to innovation and efficiency in addition to natural selection through competition. Symbiosis is one of them. Symbiotic evolution is not an exceptional but a widely observed phenomenon which includes from appearance of eukaryotic cell to evolution of plants. Even though we cannot see symbiosis in society because of our frame biased to competition and struggle, it has existed. That is,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through competition is not the only and privileged way. Third, an existing way of adopting the theory of evolution to social science is selective acceptance because only particular position, like adaptationism, is introduced and other important positions are ignored. In addition, this is a circular supplement of competition theory. A proposition which connects competition and efficiency/innovation existed in social sciences before Darwin. If so, the proposition about competition ended up coming back to social science with the name of science called the theory of evolution. This is the moment to overcome biased and partial adoption of the theory of evolution and find a more productive way to connect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ocial 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