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희의 태극론(太極論) 개정에 대한 소고 (A Study on Zhu Xi’s Revision of Taiji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3
30P 미리보기
주희의 태극론(太極論) 개정에 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94호 / 307 ~ 336페이지
    · 저자명 : 정경훈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주희가 ‘태극(太極):동정(動靜)=체(體):용(用)’의 구도를 폐기하고, ‘태극(太極):동정(動靜)=본연지묘(本然之妙):소승지기(所乘之機)’와 ‘태극의 체(體)·태극의 용(用)’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내세운 배경이 태극론과 중화신설의 이론적 상응에 있었다는 점을 밝히려는 데에 있다. 주희는 1169년에 정립한 중화신설에서 심(心)에 미발(未發; 靜) 상태가 있다고 인정하여, 심(心)이 정(靜)할 때는 본성이 혼연히 갖추어져 있고 동(動)할 때는 본성이 감정으로 드러난다고 설명한다. 또한, 심(心)에 미발이 포함됨에 따라 주희는 미발(未發) 존양(存養)을 수양의 근본으로 간주한다. 이는 심(心)이 정(靜)할 때 천명지성(天命之性)이 갖추어지기 때문이다.
    기존의 ‘태극(太極):동정(動靜)=체(體):용(用)’ 구도는 중화신설의 심성수양론을 설명하지 못하며, 이에 주희는 태극론을 개정하여 태극과 동정을 본연지묘와 소승지기로 규정하고, 태극의 체와 태극의 용이라는 구도를 내세운 것으로 보인다. 새로 개정된 태극론은 중화신설의 심성수양론과 이론적으로⋅내용적으로 다음과 같이 부합된다. 첫째, 역(易)의 동정(動靜) 유행에 태극지체(太極之體)와 태극지용(太極之用)이 정립되고 운행된다는 구도는 심(心)의 동정(動靜)에 본성[性]이 보존되고 정(情)으로 발출된다는 구조에 이론적 근거가 된다. 둘째, 태극의 체(體)가 동정(動靜) 유행 중 정(靜)에 정립된다는 관점은 심(心)의 동정(動靜) 가운데 정(靜)한 상태에 천명지성이 혼연히 갖추어져 있으므로 미발 존양이 수양의 착수처가 되어야 한다는 논의를 지지해준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reveal that the background of Zhu Xi's discarding of the structure of ‘taiji(太極):dongjing(動靜)=ti(體):yong(用)’ and putting forward a new perspective of ‘taiji:dongjing=the original being marvelous(本然之妙):the frame to ride(所乘之機)’ and ‘the ti of taiji⋅the yong of taiji’ was in the theoretical correspondence of the theory of taiji and zhonghexinshuo(中和新說). In zhonghexinshuo established in 1169, Zhu Xi admits that there is a state of weifa(未發; 靜) in the mind/heart, explaining that when the mind/heart is in jing(靜), the nature is fully preserved, and when it is in dong(動), the nature is revealed through emotion. Also, as weifa is included in the mind/heart, Zhu Xi regards weifa cunyang(存養) as the basis of self-cultiva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mind/heart is in jing, tianmingzhixing(天命之性) is preserved in that.
    Existing the structure of ‘taij:dongjing=ti:yong’ could not explain the theory of mind/heart-nature and self-cultivation of the zhonghexinshuo. Accordingly, it seems that Zhu Xi revised the existing theory of taiji to define taiji and dongjing as the original being marvelous, and the frame to ride and put forward the structure of the ti of taiji⋅the yong of taiji. The newly revised taiji theory is theoretically and in terms of content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mind/heart-nature and self-cultivation of the zhonghexinshuo. First, the structure that the ti of taiji and the yong of taiji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in the dongjing of the yi(易) i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structure that the nature is preserved and revealed in the dongjing of the mind/heart. Second, the view that the ti of taiji is established in the jing between the dong and the jing supports the discussion that the weifa cunyang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self-cultivation because the tianmingzhixing is fully preserved in the state of jing between the dong and the jing of the mind/he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