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정일의 민족문학론과 탈식민론 (National Literature and Decolonization by Ha, Jeong-i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6
22P 미리보기
하정일의 민족문학론과 탈식민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68호 / 329 ~ 350페이지
    · 저자명 : 유성호

    초록

    하정일은 한 시대의 주류 담론에 대하여 대항 담론을 구상하고 실천했던 근대문학 연구자이다. 그는 비교적 지속적이고 일관된 담론적 자장을 완성하였는데, 그것을 일별해보면 민족문학론, 리얼리즘론, 근대성론, 분단 자본주의론, 탈식민론 등으로 개괄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그 구상의 저류(底流)에 흐르는 것이, 한국문학의 탈식민성에 대한 그의 지속적 사유와 실천이었다고 귀납할 수 있다. 가장 먼저 그가 정초하려 했던 것은 민족문학의 이념과 방법이다. 그는 민족문학의 이념과 방법을 이론적으로 해명하면서 그것을 준거로 하여 1930년대 후반과 해방기의 민족문학론을 탐구하였다. 하정일은 민족문학과 리얼리즘의 결속을 논리적으로 추구하였고, 리얼리즘을 축으로 하는 민족문학의 양상을 한국 근대문학에서 역사적으로 발견하는 데 진력하였다. 이처럼 그는 일관되게 민족문학과 리얼리즘의 불가분리성을 역사적으로 추적하였고, 세계문학사의 보편성에서 그 결합 사례를 찾으면서 리얼리즘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통해 민족문학의 방법을 규명하고 또 실천해가야 한다는 제언을 수행하였다.
    하정일이 후기에 집중적으로 수행한 담론적 기획은 탈식민론이다. 이는 서구의 근대화 신화를 상대화하고 새로운 방식의 실천적 저항 담론으로 나타난 것이다. 하정일은 탈식민성의 계보를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탐색하고 그것의 의의와 가치를 밝혀나갔다. 그는 탈식민의 궁극적 지향이 자본주의적 근대를 극복하는 데 있다고 강조하였고, 나아가 탈근대 담론의 가장 큰 맹점이 근대성의 성취와 근대의 극복을 분리한 채 근대 이후로 비약하려는 조급증을 보여준 데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민족문학론을 기저로 하는 탈식민론이야말로 우리 근대문학의 궁극적 탐침이요 지남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는 실천비평에서 민족문학론과 탈식민론이라는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1990년대 이후 문학을 읽어냈다. 그 점에서 그는 우리 비평사에서 민족문학론과 탈식민론을 깊이 있게 탐침한 이론가요 실천가로 남을 것이다.

    영어초록

    Ha, Jeong-il is a researcher of modern literature who designed and practiced the counter discourse against the mainstream of the period. He had completed a relatively steady and consistent field of discourse and it includes national literature, realism, modernity, divided capitalism, decolonization and etc. Here, we could induce that his consistent thoughts and practices of the decolon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re at the undercurrent of the design. The first thing he tried to lay the cornerstone was the ideology and method of national literature. While theoretically explaining the ideology and method of national literature, he studied national literature of late 1930s and the liberation period based on it. Ha, Jeong-il logically sought for the unity of national literature and realism and did his best to find aspects of national literature from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s such, he consistently traced the inseparability of national literature and realism and practiced his suggestion of investigating and practicing the method of national literature through the uniqueness and originality of realism, looking for the example from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At the latter part of his life, Ha focused on the practice of decolonization appeared as a new style resistance discourse relativizing the myth of western modernization. He explored the genealogy of decolonization from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clarified its significance and value. He emphasized that the ultimate goal of decolonization was at the overcome of capitalistic modernity and further argued that the biggest blind point of postmodern discourse was from the impatience of jumping right onto the ‘post-modern’ dividing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modern era. He, therefore, emphasized that the decolonization based on national literature was the ultimate probe and guidanc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a, Jeong-il read literary works after 1990s with two axes of national literature and decolonization in his practical criticism. In this respect, he could be considered as a theorist and doer who explored national literature and decolon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riti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4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