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學 相均論과 均衡理論 (Theory of Parity and Equilibrium in Dongha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6.06
38P 미리보기
東學 相均論과 均衡理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10권 / 1호 / 145 ~ 182페이지
    · 저자명 : 이찬구

    초록

    19세기 중엽에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崔濟愚)는 자신의 大道를 天道와 地理로 나누고, 天地의 相應으로써 천도의 상대적 원리를 설명한다.
    이러한 天地相應說은 동학에서 말하는 음양론의 근원을 이루며, 음양에 의한 만물생성이 동학의 생성론을 형성하게 된다. 그것의 경전상 근거는 “陰陽相均”이다. 이것을 ‘相生的 均和’로 재해석하고, 이를 ‘창조성’이라는 말로써 이해하였다. 여기에 20세기 초 소비에트에서 있었던 부하린(Bucharin, 1888~1938)의 균형이론(equilibrium theory)과 함께 비교해 보았다.
    그가 제시한 균형의 3단계설은 즉 균형의 상태→균형의 교란→균형의 회복이다. 이 3단계 변화를 동학의 음양상균론과 연계해 보았다.
    부하린의 균형이론은 ‘움직이는 균형론’이며, 만물생성원리를 상대적으로 파악한 동학의 음양상균론과 관련하여 의미가 통한다. 동학에서 말하는 음양의 相均이란 부하린이 말한 ‘균형의 회복’과 흡사한 것이다.
    ‘陰陽相均’의 이치에 따라 사람이 사회에서 상생적 균화를 이루면, 사회와 세계를 變化시킬 수 있다. 이 상생적 균화를 사회적 윤리로 보면 相生과 均衡이라는 두 말로 집약할 수 있겠다. 만약 사회가 이런 相均的 관계구조를 이루면, 인간관계는 단순한 수평적 균형이 아니라, 서로가 상대방에게 삶의 근거가 되어주는 살기 좋은 사회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며, ‘창조성이 충만’한 사회로 발전할 것이다. 이런 사회변화에는 인식의 전환이 요청된다. 바로 상생과 균형으로의 인식전환인 것이다.

    영어초록

    Suun Choe Cheu, founder of Donghak in mid-19th century, explained correlativity of heavenly way in terms of resonance of heavens and earth. The resonance of heavens and earth is a basis of Donghak’s yin-yang theory as well as theory of becoming.
    The locus classicus of this idea is parity of ying and yang in the Donggyeongdaejeon. I interpret it as a harmony with parity in reciprocal benefit and translate into creativity. I compare it with early 20th century Soviet thinker Buharin’s(1888~1938) equilibrium theory.
    His three steps of equilibrium starts from nascent equilibrium through turbulence of equilibrium and ends in the restoration of equilibrium. I attempted to make a bridge it with theory of parity of yin and yang in Donghak. Theory of Buahrin’s equilibrium shares in common with theory of parity of yan and yang in Donghak in dynamism and correlativity. Buharin's restoration of equilibrium is close to the notion of parity of yin and yang in Donghak.
    If humans in society achieve harmony with parity of yin and yang, they can transform the society and world. Parity with reciprocal benefit can be captured socio-ethically in the idea of reciprocal benefit and equilibrium Given relationships of reciprocal benefit, humans achieve sane society where humans benefit among another beyond mere superficial relationships, thus attain to robust society of creativity. Change to the idea of reciprocal benefit and equilibrium is required for societal 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