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Ontological ‘Reflexivity’ in Southeast Asian Cultural Stud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5
36P 미리보기
Ontological ‘Reflexivity’ in Southeast Asian Cultural Studies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연구 / 22권 / 2호 / 179 ~ 214페이지
    · 저자명 : 김예겸

    초록

    The aim of the paper is to reflexively examine the ontological approach to the lifeworld [lebenswelt] in Social Sciences, and then to seek an appropriate ‘reflexivity’ in it, thereby eventually attempting to connect its implication to ‘reflexive’ methodology for the academic enterprise, Southeast Asian Cultural Studies. Given the fact that the paper primarily reflects on experiences of ethnographic research, the term ‘Southeast Asian Cultural Studies’ is adopted with a view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macro-level or quantitative Studies. Moreover, bearing in mind that it kicks off primarily from research experiences of an anthropological approach, in terms of epistemic triangulation, the paper also attempts to reflexively accommodate ontological properties of Sociological Cultural Studies.
    The core idea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very first field research experience of the author as a Southeast Asianist in a Minahasan region, Tomohon, in North Sulawesi, Indonesia, between June 1999 and July 2000, and its ontological reflexivity of epistemic application to Southeast Asian Cultural Studies. The reason why the field research was selected and presented in this paper is because it clearly shows a stereotyped example of the epistemic nature in transition of Southeast Asian Cultural Studies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fter briefly presenting Tomohon as the setting of the paper, in search of an alternative ‘reflexivity’, the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three major ontological paradigms in Social Sciences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main determinants of social outcomes, ‘social structure’ and ‘human agency’ as follows. The first paradigm [functionalism and structuralism] is based on the ‘realist’ assumption that human agency is largely determined and regulated by social structure. The second paradigm [interpretive-actor perspectives] emerged as a critical reaction to the ‘realist’ perspective; it emphasizes the flexibility of social actors in constructing their lifeworld in relation to social structure. The third paradigm [reflexive approaches] attempts to compromise between the two perspectives, stressing structural influences on social actors and the capacities of social actors to reconstruct social structure. Especially, having examined the ontological perspectives of the relations between human agency and social structure in Giddens’s concept of ‘structuration’ and Bourdieu’s notion of ‘habitus’, the paper suggests them as a ‘sensitizing’ reflexive theoretical framework that is an alternative paradigm to the ‘realist’ and ‘interpretive-actor’ paradigms.
    As a conclusion, the paper argue that the premises of ‘reflexive approaches’ seem to provide a means of tackling the ontological dilemmas in the ‘realist’ and ‘interpretive-actor’ paradigms. Nevertheless, the life-dynamics of people still demand a more ‘actor-centered’ account of reflexive and homogeneous interaction between actors and social stru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