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사유의 연맥을 통해 본 동학의 개체성 이해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서 동학의 ‘일리만수(一理萬殊)’까지-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dividuality in Donghak through Connections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s ─ From Inmulsungdongyilon(人物性同異論) to Illimansu(一理分殊) of Donghak-)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06
36P 미리보기
전통사유의 연맥을 통해 본 동학의 개체성 이해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서 동학의 ‘일리만수(一理萬殊)’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17호 / 155 ~ 190페이지
    · 저자명 : 정혜정

    초록

    본 연구는 인간 개체라는 것이 전체와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체와의 관련 속에서 인간 자율을 읽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주자가 불교를 비판한 가장 큰 이유는 저들은 理一의 보편만을 강조하지 각 개체가 지녀야 할 바 도리를 간과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강조해 나온 것이 이일분수(理一分殊) 개념으로 인간 개별의 도리를 오상으로 규정지어갔지만 그 보편성과 개체성의 관계문제라든가 개체의 보편성 실현 논리는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었다. 이 과제를 떠안은 것이 조선 성리학자들이라 하겠는데 그들은 다양한 해석을 가하여 그 관계문제를 풀어나가고자 했고 그 대표적인 산물이 율곡의 이통기국(理通氣局)이라 할 것이다. 또한 인물성동이논쟁에서의 개체성 이해는 주자의 관점과 율곡의 이통기국을 놓고 또다른 논의를 전개한 것이라 할 것인데 그것은 남당의 이동성이(理同性異), 외암의 이기동실(理氣同實), 그리고 녹문의 이통기통(理通氣通), 노사의 이분원융(理分圓融)·이함만수(理含萬殊) 등의 개념으로 개진되고 동학에 와서 “일이기(一理氣)의 일리만수(一理萬殊)”로 완전한 통섭이 이루어진다 할 것이다. 이러한 동학의 인간개체성 이해는 이일분수를 둘러싼 전통 사유의 연맥 속에서 탄생했다 할 것이고 그것은 인간 각자가 한울 전체임을 자각하여 만 가지 다름(萬殊)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세상을 이루는 개벽자의 의미로 표현되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due to consciousness of problem that an individual of self-regulation is not separated from the whole, but co–xists with others relating to each other. And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concept of individuality of Donhak exists in Korean traditional thought. Are traditional thoughts lacking of understanding of individuality? In traditional thoughts the understanding concept of individuality is only based on wholeness. An individual human being has universality as well as particularity. An individual as a part of the universe depends on bonds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each relation is distinctive. Furthermore, the various conditions of individual relations continue to change, and thus the individuals coexist in many kinds of relations. The individuals should evolve together recognizing that their relations are interdependent.
    Iilbunsu(理一分殊) is Zhu xi’s theory which insists that the theory on universality and the theory on particularity have something in common. Zhu xi criticized Buddhism, which explained individuality as uncertainty and an individual should abandon its ego. He insisted that the principal of individual’s relations level were Five Human Relation(五輪). But it is not easy to combine universality with individuality in real world. Also it must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relations and social circumstances.
    Toigye’s theory, Igihobal(理氣互發) and Youlgok’s theory, Itonggiguk(理通氣局) are influenced by Iilbunsu(理一分殊) but unique. Youlgok’s understandings of individuality affect the theory of Inmulsungdongyi(人物性同異) in forming personality. They were expressed Idongsungi(理同性異) and Idongkisil(理氣同實) by Namdang and Oiam each other. There have been differing theory on the issue. Also Nokmun's theory, Itpngkitong(理通氣通) and Nosa's theory, Ibunwonyung(理分圓融) are influenced by them and affect the theory of Donhak's theory, Illimansu(一理萬殊) of Iliki(一理氣). By Donhak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is united perfectly. Individuality in Donghak is connected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nd it is to realize the holistic Self and to express the various things in their life. It is called the "Mosim(serving) of Hanulni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