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놓고 또다른 논의를 전개한 것이라 할 것인데 그것은 남당의 이동성이(理同性異), 외암의 이기동실(理氣同實), 그리고 녹문의 이통기통(理通氣通), 노사의 이분원융(理分圓融)·이함 ... have been differing theory on the issue. Also Nokmun's theory, Itpngkitong(理通氣通) and Nosa's theory ... 한 해석을 가하여 그 관계문제를 풀어나가고자 했고 그 대표적인 산물이 율곡의 이통기국(理通氣局)이라 할 것이다. 또한 인물성동이논쟁에서의 개체성 이해는 주자의 관점과 율곡의 이통기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