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불교 초기 비판의 논점과 변용 ― 「難神滅論」과 『朱子語類』 「釋氏」편을 중심으로 ― (Issues and Transformation of Early Criticism of Chinese Buddhism ― Based on 「難神滅論」 and 『朱子語類』 「釋氏」篇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6
36P 미리보기
중국불교 초기 비판의 논점과 변용 ― 「難神滅論」과 『朱子語類』 「釋氏」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19호 / 119 ~ 154페이지
    · 저자명 : 박경미

    초록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위진 남북조 시대 이후 불교에 대한 비판은끊임없이 이루어졌다. 이는 불교의 융성과 더불어 피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하였다. 초기 불교 비판의 핵심은 정신이 멸하는가 멸하지 않는가인데, 불교의 윤회설을 부정하기 위한 출발이기도 하였다.
    소침의 「난신멸론」에서는 정신과 육체는 불가분의 관계이지만 서로 다른 영역일 뿐만 아니라, 정신이 육체와 함께 소멸하는 것이아니고 독립적임을 이야기한다. 또한 불교의 융성과 더불어 지적되어 온 사회적 폐해에 대해서도 운용상의 문제일 뿐, 실제로 불교는유교와 다르지 않게 충효와 인륜을 중시한다고 반박한다.
    주자 말년에 제자들과의 문답을 정리한 『주자어류』 「석씨」편에는주자의 불교 비판이 종합되어 있다. 성리학의 체계, 즉 이기이원론을 근간으로 철학적 바탕 위에서 불교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당시에 융성했던 선종을 염두에 두고 한 불교의 心에 대한 비판이 핵심이다. 유교의 심과는 다르게 불교의 심은 실체가 없음을 논하여, 불교와 함께 할 수 없음을 주장한다. 또한 도통의 입장에서보았을 때에도 불교는 허무맹랑한 양주나 묵적에 가깝거나 그들의논리를 베낀 것에 불과하다고 한다.
    소침과 주자의 불교에 대한 비판은 외견상 달라보이나, 비판의 논점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오히려 주자에게서 종합되고 강화됨으로써, 불교비판의 정형화와 고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Buddhist criticism that occurred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First of all, we examine the issues of Buddhist criticism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reign of the Weijin North and South Dynasties. It is aimed at a paper with a note that says, “The spirit does not perish(「難神滅論」)” of Xiao Shen(蕭琛). It compares with the arguments of the 「Mr.Buddha」 of 『朱子語類』, It is a collection of Ju-hee’s words.
    The comparison results are as follows: The question of mental destruction has been extended to the logic of Reason and Mind Neo-Confucianism. And The point about the evils of Buddhism also persisted. In conclusion, the logic and form of the argument have changed slightly, but the core of the criticism has not changed that much. Rather, we could see that it was becoming more solidified and formalized based on ‘the Theory of 理氣’. Confucianism’s criticism of Buddhism has not weakened over time, nor does the refutation on the part of Buddhism seem to be understood.
    On the contrary, Zhu hee’s criticism of Buddhism became an example it continued to criticize Buddhism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