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양명의 격물공부론 (Wang Yang-ming's the kungfu-theory(工夫論)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12
30P 미리보기
왕양명의 격물공부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교육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학연구 / 21권 / 2호 / 131 ~ 160페이지
    · 저자명 : 이우진

    초록

    본 논문은 양명이 격물을 재정의한 이유가 다름 아닌 공부론적 혹은 교육학적 문제인식에서 나왔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양명은 주희와 동일하게 성인됨을 제일의(第一義)로 파악하지만, 입문하수처(入門下手處)인 격물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한다. 이러한 입장차는 사실상 교육학적 문제의식에서 출현한 것이다. 양명은 주희와는 다른 독자적인 학자․현인․성인의 경지와 성인됨의 방법론을 지니고 있었다. 학습자의 현재 위치와 학습자가 도달해야 할 목표지점과 학습자가 해나가야 할 공부법에 대한 독자적인 이해방식을 지닌 것이었다.
    주희는 선지후행(先知後行)의 입장에 서서, 독서와 강학과 같은 여러 가지 외적 탐구를 통해 현실의 갖가지 양상들에 대한 치밀한 이해가 선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진심(盡心)․지성(知性)․지천(知天)을 격물․치지라는 지(知)의 영역으로 놓았다. 그는 지(知)의 완성이 이루어진 이후에 행(行)의 영역인 존심(存心)․양성(養性)․사천(事天)이란 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의 단계를 지나, 성인의 경지인 요수불이수신이사(夭壽不貳修身以俟)라는 지행병진(知行竝進)의 단계로 나아갈 것을 요청하였다.
    반면 양명은 진심․지성․지천을 생지안행(生知安行)하는 성인의 경지로, 존심․양성․사천을 학지이행(學知利行)하는 현인(賢人)의 경지로, 요수불이수신이사를 곤지면행하는 학자의 경지로 파악했다. 그는 성인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 성(誠)의 공부를 제안한다. 그에게 진정 중요한 공부는 지적(知的)․인식론적(認識論的) 측면의 공부가 아니라, 내면적 의도 즉 의(意)를 성실하게 바로잡는[格] 공부였다. 때문에 양명은 격물을 격의(格意)로 재해석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d Wang Yang-ming's view point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格物). Chu Hsi and Wang thought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s the beginning point of study, and both of them regarded ultimate purpose of study as to become a sage samely. But, they understoo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in a totally different way. Chu and Wang's these different opinions resulted from their distinctive educational points of view. The stages of beginner and sage differently, and the methodology for being sage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them. In other words, they had distinctive perspective of the learner's stage and educational goal.
    Chu clung to his position that one must know before he can act. He maintained his opinion that the first consideration to become a sage was the external researches such as reading and studying. So, Chu considered that exerting the mind to the utmost(盡心), knowing one's nature(知性), and knowing Heaven(知天) were equivalent to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致知) as the knowledge domain; that preserving the mind(存心), nourishing one's nature(養性), and serving Heaven(事天) were equivalent to the sincerity of the will(誠意), the rectification of the mind(正心), and the cultivation of the personal life(修身) as the action domain; that not allowing any double-mindedness regardless of the longevity of brevity of life but cultivating the personal life while waiting for fate to take its own course(夭壽不貳修身以俟) were the perfection of knowledge and the complete realization of humanity as the parallel advance domain of knowledge and action, all of which are matters pertaining to the sage.
    Wang, however, are diametrically opposed to those th those of Chu. Exerting the mind to the utmost, knowing one's nature, and knowing Heaven are understood as matters known from birth and are practiced naturally and easily(生知安行). They are perceived as matters pertaining to the sage. Preserving the mind, nourshing one's nature, and serving Heaven are understood as matters learned through study and practiced for their advantage(學知而行). They are perceived as matters pertaining to the worthy. Not allowing any double-mindedness regardless of the longevity of brevity of life but cultivating the personal life while waiting for fate to take its own course are understood as matters learned through hard work and practiced with effort and difficulty(困知勉行). They are perceived as matters pertaining to the student. Wang suggest the way to become a sage as the sincerity. His important studies are not the intellectual, epistemological studies, but the rectifying study of one's mind or intention sincerely . So, Wang reinterprete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s the rectifying one's mind or intention(格意). And, his the conception of knowledge contains the conception of action. He clung to his position that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