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伯夷論, 조선 사대부의 정의론 (Boyi Theory(伯夷論), Justice Theory of The Noblemenin Joseon Nobl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伯夷論, 조선 사대부의 정의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72호 / 69 ~ 96페이지
    · 저자명 : 이홍식

    초록

    본고는 伯夷論을 통해 조선 사대부들이 구축했던 ‘부정의의 부재’로서의 정의관의 한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자유주의 정의론자의 대표격인 존 롤스의 정의관과 연계하여 차이를 드러내고 그 현대적 의미를 찾아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백이론의 근간이 되는 유교의 정의관을 먼저 점검하고, 그 토대 위에서 백이론에 투영된 정의론의 실체를 파악하였다. 나아가 조선 시대 백이론의 대표격인 김시습의 「伯夷叔齊贊」을 중심으로 서양의 정의관과 구분되는 차이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그 의미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분석한 바에 따르면, 백이론은 유교의 仁義에 바탕을 둔 조선 사대부의 정의론이 가장 잘 구현된 텍스트이다. 김시습의 경우처럼, 단순히 논변 차원에만 머물지 않고 각자의 삶 속에 깊이 녹아든 살아 있는 정의론이다. 인의에 바탕을 둔 조선 사대부의 정의론은 관계 속에서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개인의 자유와 권리의 문제에 둔감하며 분배 정의나 사법 정의와 동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더구나 관계 밖에서 보편적으로 요구되는 정의와 충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늘 내포되어 있고, 합의된 절차 없이 제도와 관습 안에서 주어지는 것이기에 시대 변화에 따른 정당성 문제도 여전히 남아 있다.
    그러나 개인의 자유와 권리보다 공동체의 공동선과 화합을 중시해 온 우리 사회의 윤리전통을 고려해 볼 때, 존 롤스를 비롯한 자유주의 정의론자들의 주장을 맹목적으로 따를 수만은 없다. 더욱이 존 롤즈의 정의론은 구체적인 사회경제적 조건과 관련시킬 경우 형식주의에 빠질 우려가 있다. 자유주의 정의가 문제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불평등의 근본 원인이 분배의 문제로만 귀결되지 않으며, 공정성과 절차성을 확보한다고 해서 사회의 부정의가 일소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가 실질적인 규범적 정의론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유주의 정의론자들이 말하는 추상적인 합리성을 통해 포착할 수 없는 수준의 부정의를 진지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유교의 인의에 바탕을 둔 조선시대 사대부의 정의관은 이런 점에서 유의미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타인의 고통에 무관심한 자유주의 정의론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자유주의 정의론의 한 대안으로서 백이론에 투영된 조선 사대부의 정의론을 다시 점검할 필요가 있는데, 특히 정의 실현에서 윤리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s at ‘absence of injustice’ as an aspect of justice system built by Joseon nobles through Boyi theory(伯夷論), then it primarily aims at revealing differences and finding out their modern meanings in conjunction with the definition of John Rolls, a representative figure of liberal justic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justice system of Confucianism underlying the Boyi theory and identified the substance of the justice system projected on the Boyi theory in the foundation. Furthermore, this paper tries to clarify differences and extract meanings between the Western justice system and focusd on Kim Siseup’s “Baekyisukjechan(伯夷叔齊贊)” a representative of the Boyi theory of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paper, the Boyi theory is the best text realized justice system of Joseon nobles based on benevolence(仁義) of Confucianism. It is a theory of justice that has been deeply embedded in each person's life, not just in an argument like Kim Siseup’s case. Joseon nobles’ justice system based on benevolence operates to direction which emphasizes on responsibilities and duties in relationship, so this seems to separate from distribution justice or regal justice unconcerned about the issues of personal freedom and rights. Moreover, there is always the potential to conflict with the universally required justice outside of a relationship, and the question of justification as it is given within the system and customs without an agreed process still remains.
    However, considering the ethical tradition of our society, which has placed importance on community coordination and harmony over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we cannot blindly follow the arguments of liberal justiceists including John Rolls. Moreover, John Rolls’s justice theory may fall into formalism when it relates to specific socioeconomic conditions. This is because the root cause of inequality as an object problem of liberalism justice is not just about distribution, and securing fairness and procedurality does not eliminate social injustice.
    To build a practical normative justice system, we need to seriously consider the level of injustice that cannot be captured through abstract rationality which said by liberal justiceists. The justice system of Joseon nobles based on benevolence of Confucianism has significant value in this point. In particular, significa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liberalist justice, which is irrelevant to the suffering of others. As an alternative to liberal justice theory, it is necessary to recheck the justice theory of Joseon nobles projected on the Boyi theory, particularly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role and value of ethics in the realization of ju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