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타요가쁘라디삐까』(Hat.hayogapradīpikā ) 필사본의 명칭- 필사본과 카탈록 그리고 표준적 명칭에 대하여 - (Reflections on the Issues Concerning the term Hat.ha(yoga)pradīpikā)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12
29P 미리보기
『하타요가쁘라디삐까』(Hat.hayogapradīpikā ) 필사본의 명칭- 필사본과 카탈록 그리고 표준적 명칭에 대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리뷰 / 6호 / 85 ~ 113페이지
    · 저자명 : 박영길

    초록

    본 논문에서 다룬 내용은 하타요가의 고전인 스와뜨마라마의 『하타요가쁘라디삐까』(Hat.hayogapradīpikā )의 명칭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이 문헌은 『하타요가쁘라디삐까』로 통용되고 있지만 근래 이 문헌의 정확한 명칭이 『하타쁘라디삐까』(Hat. - hapradīpikā )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이 주장은 현존하는 사본의 콜로폰에 의거한 것으로 무시될 수 없는 근거를 지닌다. 하지만 명칭 문제는 더 이상 논의되지 않았고 여전히 『하타요가쁘라디삐까』로 통용되고 있다. 아마도 스와뜨마라마의 이 고전은 이미 너무나 잘 알려진 문헌이고 또 명칭이 Hat.hapradīpikā 이건 Hat. - hayogapradīpikā 이건 동일 문헌이기 때문에 명칭 관련 문제는 부차적인 관심을 끌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헌학적 연구나 번역에 앞서 거론하지않을 수 없는 것이 명칭 문제이다.
    먼저 이 문헌의 명칭에 대해 콜로폰을 비롯 타 문헌의 인용, 저자의 표현 등을검토한 후 Hat.hayogapradīpikā 가 표준적인 명칭(Unified Standard Title)에 적합할지를 검토하였다.
    콜로폰 등을 분석한 결과 Hat.hapradīpikā 가 원제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는데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현존하는 사본의 콜로폰은 서명을 대부분 Hat.hapradīpikā 로 기록하고 있다.
    2. Hat.haratrnāvalī는 Hp.를 Hat.hapradīpikā 라는 명칭으로 인용하였고 Hp.의 주석자인 브라흐마난다도 이 문헌의 명칭을 Hat.hapradīpikā 로 암송했다.
    3. 16음절수를 고려해서 Hp. 1장 3송은 서명을 Hat.hapradīpikā 로 밝히고 있다.
    하지만 1660년부터 하타요가 수행법과 하타요가라는 용어가 널리 보급되면서이 문헌은 Hat.hayogapradīpikā 라는 명칭으로 필사되기도 하였다. 현재 학계와 일반에서 이 문헌은 Hat.hayogapradīpikā 로 통용되는데 그것은 1893년의 출판본이 문헌학자와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지면서 하나의 표준적인 명칭으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비록 Hat.hapradīpikā 가 원제의 흔적을 많이 담은 것으로 판단되지만 Hat.hayogapradīpikā 가 사실상 표준적인 명칭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Hat.hayogapradīpikā 로 명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re are over 318 extant manuscripts of the Ha t.
    hayogapradīpikā . This is the highest number of manuscripts on a text related to Hat.hayoga. The fact that 318 manuscripts are extant indicates the considerable influence and authority of this text within the domain of Hat.
    hayoga.
    The Hat.hayogapradīpikā has been copied/rendered -besides Devanaragiin Bengali, Grantha, Śarada, Nandinagari, Newari, Telugu, and in Malayalam, which is a further indication of its popularity within yoga circles.
    This tex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Hat.hayoga texts because it has been the focus of many excellent commentaries, including the Jyotsnā by Brahmānanda.
    In recent years, an academic debate has been ongoing concerning the exact title of this text. Within academia and the public at large, this text has hitherto been referred to as Hat.hayogapradīpikā , but its exact title is Hat.
    - hapradīpikā , not Hat.hayogapradīpikā .
    This paper asserts that the name Hat.
    hapradīpikā closely corresponds to the intention of its author (or perhaps to that of its very first scribe), for the following reasons: ① The very first extant copy dating from the 15th century records the text’s title as Hat.
    hapradīpikā , and the appellation Hat.hayogapradīpikā has been used -from the 17th century onwardsconcomitantly with that of Hat.hapradīpikā .
    ② The majority of extant manuscripts have Hat.hapradīpikā in colophons, and 80 manuscripts record as Hat.hayogapradīpikā .
    ③ The 17th century text Hat.haratnāvalī quotes the Hat.ha(yoga)pradīpikā and refers to the Hat.hapradīpikā as its source.
    ④ The compound Hat.hayoga almost never occurs in the Hat.ha(yoga) - pradīpikā . Instead, the it is referred to by the term Hat.
    ha.
    Even in passages where the term Hat.
    hayoga would be more accurate, the term Hat.ha is used. This is in order to preserve the sixteen syllables.
    For the same reasons: ⑤ The śloka Hp.1.1.3 clearly refers to the title of this text as Hat.hapradīpikā.
    ⑥ In his commentary on the śloka Hp.1.1.3, Brahmānanda interprets Hat.hapradīpikā as Tatpurus.
    a, in the sixth case, which implies that he knew this text as having the title of Hat.hapradīpikā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