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仙華子 金若行의 善論에 관한 考察-主善錄 內篇을 중심으로- (Kim Yak-haeng’s viewpoint of the goodnes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11
34P 미리보기
仙華子 金若行의 善論에 관한 考察-主善錄 內篇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자학회
    · 수록지 정보 : 孔子學 / 17호 / 181 ~ 214페이지
    · 저자명 : 이용형

    초록

    선화자는 조선후기 영.정조 시대에 살았던 사람이다. 그가 살았던 18세기 조선후기사회는 겉으로 매우 안정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노론과 소론간의 권력투쟁으로 인하여 관료는 부패하고 사회질서는 혼란 그 자체였다.
    선화자는 善.惡을 대함에 있어 善은 먼저부터 이미 존재한 ‘本然之性’으로 보았으며, ‘本然之性’을 상실한 이후의 존재를 惡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러니까 선화자는 오직 ‘本然之性’만이 純善한 것이지 그 외의 다른 것들은 惡이라고 본 것이다.
    선화자는 ‘純善無惡’한 善行이 私欲에 習俗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천적인 방법으로 ‘愼獨과 誠意’의 공부를 重視하였던 것이다.
    선화자에 있어 仁은 사람과 사람의 상호관계에서 자연의 순리에 따라 誠意를 다한 善의 실천을 의미한다 하겠다. 그래서 선화자는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고 誠意를 다하여 善을 실천하면 ‘一家興仁’으로부터 시작하여 ‘一國興仁’으로 이어진다고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誠意는 善을 실천해야 할 인간의 행위방법이며, 모든 善行의 시초이며 바탕이 되는 것이다. 誠意는 愼獨하고도 관련된다.
    愼獨이란 ‘홀로를 삼감’ 또는 홀로 있을 때에도 도리에 어그러짐이 없도록 항상 몸과 마음을 삼가 경건하게 단속함을 의미한다. 원초 유학자로부터 성리학자들에 이르기까지 先儒들은 이를 실천의 미덕으로 생각하였던 것이다. 신독은 유가의 전통적인 수양방법이다. 이런 점은 선화자 역시 유학자인 만큼 先儒들의 修養說을 따랐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goodness(善) is the main theme of Kim Yakhang’s idea. The goodness means the highest principle of moral that must select a value from old time to now for the human beings.
    Kim was a typical Confucian who had big impacted by his ancestor Kim Sangyong and Kim Sanghean’s faithful royalty. During the party strife of 18th century, he never changed his upstanding attitude to keep the principle even though family’s disaster.
    His theory of goodness are followings.
    First, Kim agreed with a reasonable fatalism but he denied an irrational fatalism. Second, Kim's goodness is the way of nature. He calls that lost nature is evil as a opposite concept to goodness. Third, he calls that the way of nature is pure goodness. Someone practice a pure goodness than a human nature recovery through it. He emphasized that keeping heavenly principle(天理) and removing humanly desire(人欲).
    Fourth, Kim emphasized on the study of sincerity(誠意) for protect personal desires. He said that the study of sincerity lead to wisdom of recognition and take goodness.
    Fifth, the practise of sincerity lead to a cautiousness(愼獨). A ideal image of human is a cautious gentleman who made by truthful cautiousness as a goodness of goodness. Kim emphasized the study of sincerity and cautiousness to live with moral.
    According to the his theory of goodness, modern Korean society more needed the wisdom of humane life. Modern peoples have too much desires. If our society correcting the body and mind and keep on sincerity then must be a humane family and nation. His teaching is still remain values for the building of good person and goo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